-
-
글쓰기 왕 랄프 - 입말 따라 시작하는 글쓰기 ㅣ 내인생의책 그림책 63
애비 핸슨 글.그림, 이미영 옮김 / 내인생의책 / 2015년 9월
평점 :

'입말 따라 시작하는 글쓰기'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는 책이예요. 입말이라는 뜻처럼 일상대화들을 글로 옮기기 시작하면 부담없이 쉽게 글쓰기를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랄프의 담임 선생님 말씀처럼 '이야기는 어디에나 널려 있어요'가 딱 맞는 말인 것 같아요.

랄프의 반 아이들은 주변에서 이야깃감을 잘 찾아내요. 친구들은 치과에 다녀온 이야기나 사탕먹는 이야기들도 재미있는 이야기로 잘 써내려가지만 랄프에게 글쓰기 시간은 무척이나 곤혹스러워 보입니다.

짝꿍에게 도와달라고 이야기해보지만 짝꿍 데이지는 랄프에 대해 쓴 이야기만해도 한 뭉치가 된다며 자신이 쓴 이야기들을 보여줍니다. 사소한 일상도 잘 잡아내어 글로 옮겨적는 데이지를 보며 부러워하는 랄프.

이야깃거리를 찾기 위해 여러가지 행동을 해보던 랄프는 책상 아래에 편안히 누우니 이야깃거리가 생각나기 시작합니다. 공원에서 애벌레와 함께 놀았던 때를 이야깃감으로 생각해내지만 '애벌레를 만났다'는 문장 이후로 글을 이어적기는 막막하기만 합니다.
친구들과 편안하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주고받기는 쉽지만 글로 적어내려가기엔 생각을 정리하고 느낌을 적는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생활에 대한 간단한 느낌에 궁금증을 가지고 이야기를 확대하는 법을 알려주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글쓰기를 통해 생각도 정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아이도 알 수 있었다고 하네요.

수업시간에 글쓰기 발표를 하게 된 랄프. 친구들 앞에서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어렵게 애벌레 만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 때 친구들의 질문이 봇물처럼 터지기 시작했어요. 애벌레의 느낌, 애벌레의 이름, 성별 등등... 랄프는 친구들의 질문을 통해 애벌레와 만난 이야기를 생각하고 연상시켜 친구들에게 이야기해줍니다.
친구들에게 자신있게 자기만의 이야기를 말해줄 수 있게 된 랄프. 이제는 어디서나 이야깃거리를 찾아내어 언제나 이야기를 쓸 수 있게 되었답니다.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방면으로 사고를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운 것 같아요.

랄프가 알려주는 글쓰기 비법도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우선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입말 속에서 이야깃거리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처음 문장을 적어내려가기가 어렵겠지만 첫 문장을 시작으로 생각을 점차 확대시켜나가면 재미있는 글쓰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매주 일기쓰기가 숙제인 아이도 매번 무슨 내용으로 글쓰기를 할 지 고민하는데 어디 특별한 곳에 놀러가야만 일기를 쓸 수 있다고 생각했대요. 하지만 이젠 하루 일과중에서도 글쓰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아이도 알았다고 하네요. 앞으로 아이도 어떤 주제로 글쓰기를 할 지 기대가 되네요.
랄프처럼 비슷한 고민으로 글쓰기를 어려워했던 아이도 자기만 비슷한 친구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공감대를 형성하니 자신감이 생긴 것 같아요. 앞으로도 아이가 주변의 이야깃거리로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질문도 하고 많이 도와주어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