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라는 병 -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
시모주 아키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살림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부터 굉장히 강렬한 느낌입니다.  혈연관계를 중요시하는 우리 사회에서 '가족'이라는 단어는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는데 그런 가족을 병이라 표현하다니 책내용이 무척 궁금했습니다. 부제인 '가장 가깝지만 가장 이해하기 힘든 우리 시대의 가족을 다시 생각하다'를 보니 작가의 견해처럼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서로 방관하고 있었던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책의 머리글에서 책을 쓰게 된 작가의 동기와 견해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는 가족이지만 실상 엄마가 아닌 다음에는 서로가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도 잘 모르고 있어요. 서로의 마음을 들여다보려고 하기 보다는 눈에 자주 보이니까 가까운 사이라고 의식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족이라는 울타리에 속해 있기 때문에 더이상 이해하고 가까워지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아요.
점점 무너지고 있는 집안의 풍습과 가풍은 마음의 소통이라는 부분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라는 작가의 의견에 공감할 수 있었어요.
일본과 우리나라의 가족 구성이나 생활들이 비슷해서인지 의식도 무척 비슷한 것 같아요.  그들 사회의 문제점이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과 무척 비슷했습니다.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작가의 의견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가족이라는 울타리 속에서 주관성을 잃기보다는 개개인의 인격을 되찾고 서로간의 이해와 신뢰가 있는 사이가 진정한 가족이라는 의견에는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핏줄에 한정된 가족이 아닌 서로를 의지하고 배려하는 타인 사이라도 진정한 가족이 될 수 있다는 것도, 멀리사는 동기간 보다도 매일 서로의 일상을 공유하는 이웃이 진정한 가족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나와 가족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고 무엇이 부족한지 서로간의 소통의 기회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된 책이었습니다.

가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