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빨리 놀자 삼총사 ㅣ 동화는 내 친구 79
채인선 지음, 한지선 그림 / 논장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채인선'작가님의 책을 좋아합니다. 책을 쓰시는 소재도 방대하시고 같은 말이라도 이쁘고 곱게 표현하신다고 할까? 말 한마디 한마디가 정있게 다가오는 느낌이 있어서 좋아합니다. '내 짝꿍 최영대'처럼 가슴이 찡한 감동, '손 큰 할머니의 만두빚기'처럼 함께하는 즐거움과 나누는 기쁨 등 여러가지 감정들을 다양한 주인공들과 에피소드를 통해 엮어내시는 능력자이신 것 같아요.
'빨리 놀자 삼총사' 역시 뽀로로처럼 노는게 제일 좋은 아이들의 모습을 다양한 놀이와 함께 표현해주시고 있어요. 한창 놀아야할 나이지만 학원과 숙제로 바쁘고, 바깥놀이보다는 컴퓨터와 핸드폰이 익숙한 아이들을 위해 쉽고 재미있는 놀이를 소개해 주시고 있어요.

시금치, 맛살, 당근이라는 별명을 가진 빨리 놀자 삼총사는 아옹다옹하지만 항상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는 삼총사예요. 늘 함께 지내기 때문에 다툼이 있어도 금새 풀고 다시 놀 수 있는 것 같아요. 아이들이 가족처럼 친하게 지내니 삼총사들의 세 가족 역시 모두 한 가족처럼 지내고 있어요. 이웃사촌이라는 말은 세 친구들의 가족에게 딱 맞는 말인 것 같아요.
세 친구의 별명은 생김새와 성격에 맞추어 지어진 것인데 우리집 아이는 그 모습이 참 부러웠나봐요. 덩달아서 친구들의 별명짓기에 관심을 보이더군요.

| 빨리 놀자 삼총사 채인선 글 한지선 그림 논장
개인적으로 '채인선'작가님의 책을 좋아합니다. 책을 쓰시는 소재도 방대하시고 같은 말이라도 이쁘고 곱게 표현하신다고 할까? 말 한마디 한마디가 정있게 다가오는 느낌이 있어서 좋아합니다. '내 짝꿍 최영대'처럼 가슴이 찡한 감동, '손 큰 할머니의 만두빚기'처럼 함께하는 즐거움과 나누는 기쁨 등 여러가지 감정들을 다양한 주인공들과 에피소드를 통해 엮어내시는 능력자이신 것 같아요. '빨리 놀자 삼총사' 역시 뽀로로처럼 노는게 제일 좋은 아이들의 모습을 다양한 놀이와 함께 표현해주시고 있어요. 한창 놀아야할 나이지만 학원과 숙제로 바쁘고, 바깥놀이보다는 컴퓨터와 핸드폰이 익숙한 아이들을 위해 쉽고 재미있는 놀이를 소개해 주시고 있어요.
시금치, 맛살, 당근이라는 별명을 가진 빨리 놀자 삼총사는 아옹다옹하지만 항상 어울려 놀기를 좋아하는 삼총사예요. 늘 함께 지내기 때문에 다툼이 있어도 금새 풀고 다시 놀 수 있는 것 같아요. 아이들이 가족처럼 친하게 지내니 삼총사들의 세 가족 역시 모두 한 가족처럼 지내고 있어요. 이웃사촌이라는 말은 세 친구들의 가족에게 딱 맞는 말인 것 같아요. 세 친구의 별명은 생김새와 성격에 맞추어 지어진 것인데 우리집 아이는 그 모습이 참 부러웠나봐요. 덩달아서 친구들의 별명짓기에 관심을 보이더군요.
세 친구에게는 일상의 모든 활동이 놀이가 되는데 이불로 김밥놀이를 하고 몸이 힘들어지면 병원놀이를 시작하고 방이 어질러지면 정리정돈 놀이를 하는 식입니다. 모든 놀이들이 소소한 일상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어 웃음짓게 만들더군요. |

꾸지람으로 손을 들고 벌을 서는 모습도 나무놀이라고 이름짓는 아이들. 이 정도면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보고 밝게 지내는 아이들인 것 같아요. 놀이는 아이들 성장의 밑거름이라고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돈을 주고 학원에 가서 운동하고 놀이법을 배우기 보다는 친구들과 어울려 함께 실컷 뛰어노는 것이 아이들에게는 큰 자양분이 될 것 같아요.
매일매일 실컷 놀던 아이들은 공부도 즐기며 하기로 마음먹는데 이 모습은 엄마들이 원하는 가장 이상적인 모습인 것 같아요. 부족함 없이 놀이주머니를 충분히 채운 아이들이기에 공부도 놀이처럼 가벼운 마음으로 접할 수 있는 것 같았어요.
밖에서 놀고 싶다는 아이에게 여러가지 시간표를 들어대며 '놀 시간이 없어'라고 말한 제가 무척 미안해지더군요. 앞으로는 아이가 친구들과 실컷 놀 수 있는 시간을 많이 만들어주기로 약속 했어요. 그리고 친구에게 속상한 점이 있을 때 먼저 손 내미는 모습을 본 아이가 자기도 친구에게 편지를 쓰고 싶다고 하네요. 친구들과 함께 노는 시간이 얼마나 행복한지 알 수 있었던 책이었어요. 아이들의 놀이에는 끝이 없이 다양하다는 것도 새삼 느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