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새 즈필로 ㅣ 철학하는 아이 4
레미 쿠르종 지음, 이정주 옮김, 원유순 해설 / 이마주 / 2015년 4월
평점 :

고양새라는 동물이 정말 존재하는 걸까요? 알쏭달쏭 숲에 나타난 낯선 동물은 친구를 사귈 수 있을까요?

고양이의 얼굴을 한 고양새에게 다가온 하얀 고양이. 하지만 곧 고양새가 새로운 친구라는 것을 눈치채고 숲에 소문을 내러 갑니다.

고양새의 꼬리를 보고 반가워하던 티티새들은 고양새의 소리를 듣고 놀라 날아가 버립니다.
고양이의 얼굴에 새의 몸을 가진 고양새.
고양새를 괴물이라 멀리하며 경계하던 숲속 동물들은 고양새가 잡일을 하는 조건으로 숲에 머무르게 해줍니다.
어린 동물들은 고양새를 순수한 눈으로 바라보며 편견없이 다가서지만 어른 동물들의 눈에는 못마땅하기만 합니다.

고양새는 다친 날개로 힘든 생활을 하던 중 암소 안나벨라를 만나게 되고 즈필로라는 자신의 이름을 소개합니다. 친구를 만나게 되고 마음의 안정을 찾아가던 즈필로는 안나벨라와의 갑작스런 이별로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됩니다. 그러던 중 만나게 된 고양물고기.
책은 고양물고기와 고양새의 뒷이야기를 생략하고 있어서 긴 여운을 남기고 있어요.

원유순님의 해설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나의 편협한 시각때문에 아이도 나의 생각 속에 가둬놓은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봤어요.
주변에 늘어나고 있는 다문화 가족들을 어렵게 생각했던 것 같아요. 안나벨라가 고양새를 반기자 즈필로라는 이름을 되찾은 것처럼 편견없는 나의 눈길과 인사가 서로간의 거리를 좁혀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아이의 반에도 다문화친구들이 있는데 비슷한 얼굴의 친구들에게는 이질감을 덜 느끼는데 서양권 친구들은 신기한 눈으로 바라보더군요. 이상한 것이 아니라 다를뿐이라는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잘 설명해 주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