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룩 호랑이 알맹이 그림책 33
황순선 글.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제목을 접했을 땐 전래동화 속의 골탕먹는 호랑이 이야기를 생각했다. 그러나 책은 호랑이의 줄무늬가 생긴 연유부터 산신제를 지내기를 지내게 된 이유, 민화나 전래동화에서 호랑이가 우스꽝스럽게 그려지게 된 이유들이 적혀있다.
임금님의 화룡을 따라 불놀이를 하다가 생긴 호랑이 무늬, 연못 만드는 임금님을 따라 물놀이를 하다가 호랑이에 놀란 물고기가 만들어준 왕(王)자, 눈부시게 아름다운 왕비님을 흘끔흘끔 몰래보다 데굴 눈알이 된 호랑이... 호랑이의 특징마다 재미있는 이유를 만들어주며 호랑이를 설명해주고 있는데 사실이 아닐까 생각될 만큼 진지하면서도 기억에 남는 소개가 아닐까 싶다.

 

 

오랜 세월이 지나 호기심 호랑이를 잊어버린 사람들은 호랑이를 무섭게 느끼고 집안으로 꼭꼭 숨게 되고...
사람들이 호랑이를 무서워하지 않도록 호랑이를 어수룩 재미있게 그려 곳곳에 그려 붙에놓게 되면서 호랑이를 친구로 느끼게 되었다.

 

 

자장가에도 등장할 만큼 친숙해진 호랑이. 호랑이는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영토도 호랑이를 닮았다 할 만큼 여러모로 닮은 점도 많은데 유독 민화나 전래동화에서 어수룩하고 당하기만 하는 역할로 나오는데 친숙하게 느끼기 위한 선조들의 지혜였는지도 모르겠다.

호랑이와 사자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 저희집 아이들은 책속에서 본 호랑이 이마의 왕(王)자를 잘 기억하네요. 앞으로 동물원에 가서도 사자를 보고 호랑이라고 하는 일은 없을 것 같아요.

민화나 설화에 언급됐던 호랑이에 대해 자세히 알게 해준 책이었던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