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의 통장》의 저자 고경호 씨는

 "많은 사람들이 충분히 저축하지 못하는 이유는

자신의 수입 중 얼마를 어디에 지출하고, 

매월 얼마를 남기는지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한 달에 얼마의 돈이 들어가는지 잘 모르고, 
얼마의 저축금액이 적당한지에 대해 확신이 없다. 

그래서 더모을 수 있는 돈도
 쓸데없는 지출로 빠져나가 흩어져 버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출을 관리하는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한달에 얼마의 돈이 들어가는지 정리하고, 

오늘 내가 지출한 내역을 정리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면 어떻게 해야 소비를 권하는 사회에서내 돈을 지킬 수 있을까?

소유의 욕망을 절제하고, 합리적인 소비습관을 갖기 위한 인생의 캠페인으로 정리를 하길 바란다. 

정리를 하면 어떤 물건이 있는지 파악하게되고, 안 쓰는 물건들은 버리게 된다. 

그러다 보면
‘이런 물건들은 굳이 살 필요가 없겠구나‘ 

‘비슷한 물건은 안 사도 되겠구나‘ 

‘이 물건들은 빨리 써야 되겠구나‘라고 깨닫게 된다. 

그러면서 자신에게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되고, 

물건을 소유와 욕망의 대상이 아닌 

필요에 의한, 필요를 위한 도구로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 오은영의 현실밀착 육아회화
오은영 지음, 차상미 그림 / 김영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가 너무 시끄럽게 하면,
엄마가 몇 번은 주의를 줄 거야.

그래도 안 지키면 집으로 갈 거야."


필요에 따라 조건에 해당하는 부분을 "네가 사달라고 조르면…" "네가 너무 뛰면…" 등으로 바꿔서 활용해보세요.
아이들은 자기 나이에 맞게 이렇게도 했다가 저렇게도 했다가, 이 문제도 일으켰다가 저 문제도 일으켰다가 합니다. 그게 자기 나이답게 인생을 사는 거예요. 그런데 자기 인생을 살면서 요리조리 부모를 건드려요. 정확히 말하면 부모의 마음을 건드립니다. 마음이 건드려지는 것은 사실 나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 때문이에요. 내 숙제입니다.
아이의 문제 행동 때문에 마음이 힘들다면 그 문제는 ‘내 숙제’입니다. 내 숙제가 버겁다고 아이를 탓하진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 오은영의 현실밀착 육아회화
오은영 지음, 차상미 그림 / 김영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르칠 때는 언제나 기회를 또 주어야 해요. 기회를 주면 아이는 결국 배워냅니다. 누구도 한 번에 못 배워요. 아이라서 더 그렇습니다.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어떤 분이 도대체 기회를 몇 번이나 줘야 하느냐고 물었어요. 제가 대답했습니다. "천 번, 만 번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부모는 그 꼴을 좀 견뎌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 오은영의 현실밀착 육아회화
오은영 지음, 차상미 그림 / 김영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장소나 상황에서 하면 안 되는 행동은 다른 사람과 함께 평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 지켜야 하는 원칙입니다. 그 원칙은 나의 기분 상태, 나의 선호, 나의 선택과 관계가 없어요. 다른 사람들의 그것과도 관계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있든 없든, 쳐다보든 쳐다보지 않든, 좋아하든 싫어하든 지켜야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것을 가르칠 때는 "원래 원칙이야.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기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이 있어"라고 말해줘야 합니다. ‘아 그런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하는구나’ 하고 배워 ‘자신’이 배운 것을, ‘자신’이 스스로 생각해서, ‘자신’이 결정해서, ‘자신’이 행해야 해요. 즉, 배우고 행하는 주체가 ‘아이 자신’이 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은 아이의 자기 주도성을 키우는 데 굉장히 중요해요.
"그렇게 행동하면 사람들이 너를 좋아하겠어?"라고 말하면 행동의 주도권이 타인에게 있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