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사색하다
주대환 지음 / 산책자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책이 출판된 때가 2008년 11월이다. 저자는 이 해에 민노당 분당 사태 때 당적을 정리하고 탈당을 하였다. 민노당 분당 사태의 핵심 중에 하나인 '일진회 사건'과 '종북주의'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이미 책 제목에 분명히 드러나 있다. '대한민국'. 그렇다. 저자는 '대한민국'을 긍정하고 인정한다. 그리하여 '건국'이라는 표현에도 불편감을 갖고 있지 않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대한민국' 건국의 의의를 변호하고 긍정한다. 이러한 면만 보면 저자가 순전히 한국의 보수우파라는 착각에 빠질 정도인데, 저자는 70년대 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진보운동을 해온 잔뼈 굵은 좌파 운동가이다.  

  그렇다면 그는 어떠한 면에서 '대한민국'을 긍정하는 것일까? 이를 위해 그가 이야기하는 것을 크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농지개혁, 여운형과 조봉암, 데카르트 등 등...  책 전체에서 저자는 이 것들을 근거로 대한민국이 분명 한계가 있지만, 반대로 가능성도 분명히 있는 긍정적인 사회라는 것을 꾸준히 역설한다. 나는 저자의 이런 희망적이고 긍정적인 이야기를 통해 나 자신을 잠시나마 위로하고 희망을 꿈꿀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저자는 직업 운동가이자 정당인이었기 때문에 학자들처럼 한국 사회를 과학적이고 정교하게 묘사하고, 판단하는 것은 부족할 수 있다. 하지만, 학자들의 분석과 대안을 현실적으로 실천하고 행동해 본 입장에서 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별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며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현실정치와 동떨어지게 보이는 데카르트 이야기였다. 저자가 학생 시절에 탐독하였던 데카르트. 이후에 그의 정치적 실천과 가치판단에 굳건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던 데카르트의 합리적인 철학은 그의 정치이념의 기초이다. 꾸준하고 긴 정치활동을 통해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그의 신념과 철학은 깊어졌고, 결국 성선론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는데에 까지 도달한다. 그는 더이상 공산주의 사회가 가정하였던 성선적인 인간론을 믿지 않는다. 대신에 성실하게 회의하고, 비판하여 현실적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실현하길 원한다. 그래서 그는 사회민주주의를 지지한다. 

  지금은 2009년이고, 4.29 재보선에서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후보단일화로 국회의원 1명을 당선시켰고, 전라도에서는 민노당 후보 3명이 기초의원과 단체장 선거에 당선되었다. 저자는 지금 무엇을 하고,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내년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진보대연합이라는 과제를 이루기 위해 양 당이 고군분투하고 있는 요즘, 제3세력으로 자립했던 저자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자못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