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살인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을까? -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12가지 충격 실화
페르디난트 폰 쉬라크 지음, 이지윤 옮김 / 갤리온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2가지의 사례로 제목과 같은 '왜 살인자에게 무죄를 선고 했을까'에 관한 내용이 나온다

기사나 뉴스, 사건파일을 보면 살인자인데 왜 이렇게 판결이 나? 같은 의문이 있었다면 1차적인 살해자냐, 아니냐가 아니라 그 속으로 들어가면 무수한 절차가 있고 예외가 있다는 거다 

배심원의 사건 경우, 진짜 진실을 밝힌다기보다는 결국 '돈벌이'인가 싶은 생각이 든다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은 사건에 너무 익숙해져서인지 결국 카타리나가 배제되고 남편은 풀려나 아내를 살해하는 상황이 된다. 이것이 정의인가? 이것이 법의 절차를 밟은 결과인가? 법이란 정말 나를 지켜줄 수 있는 것인가...

아기가 죽은 사건은 남편이 죽인건데 아내가 죄를 뒤집어쓰고 옥살이를 하고 나온 경우다

가십거리에서는 아내를 잔인한 살인자로 만들었는데 정작 벌받아야 할 인간은 태평하게 아내를 감옥에 보내고 면회 한 번도 안오는 파렴치한이다

생명 보험 가입 2주만에 남편이 죽은 사건은 경찰은 모두 혐의를 으레 다른 사례처럼 치부하며, 조사도 제대로 안하고 모든 정황이 부인이 범인이다라고 하는 상황인데 변호사가 증거의 해석을 뒤집는다

또 다른 사건은 남의 집에 몰래 들어와서 남의 소유물 엉망으로 만들어 놓고 간 이웃집 남자

립스틱으로 그런 저급한 말까지 써놓고 가면 모를 줄 알았나.. 결국 마이어벡한테 엄청 얻어맞고, 판결은 때리긴 했으나 정당방위. 그리고 아내를 닮은 이웃집 여자의 남편 살해한 사건은, 아무 문제도 없던 부부를.. 질투심 때문이라고 해야하나.. 이웃집 여자 남편을 살해하고 이웃집 여자가 의지하게 되고 뭔가 이런 건.. 참 더럽다라고 밖에는..

거기다 상황이 애매해서 범인이다라는 증거도 못 찾았고 결국 잘 산다는 이야기....

살인자 변호를 하기 싫어도 해야하는 법 이야기도 나왔는데 사회생활하고 비슷한 이야기인 듯 하다

'이 사람이 싫어서 바꾸고 싶어요' 라고 한다면 특별한 이유 없이 그런 걸로는 안된다는 거다. 똑같은 이야기다

다들 좋아하는 사람, 싫어하는 사람 없는 사람 없고. 그런 이유는 이유가 아니다라는 이야기

고의인듯 아닌듯한 느낌들의 이야기들이다

읽고 나서 마음이 복잡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뭔가 딱 잘라서 말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느낌

저자는 여기서 답을 내려주지 않는다. 이야기만 들려줄 뿐이다. 판단은 읽는 우리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