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산다는 것 - 조선의 리더십에서 국가경영의 답을 찾다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조선의 건국 이후 태조부터 순종까지 27대에 걸친 왕들의 공과를 자세하게 풀어놓은 책이다. 여러 왕들이 신하를 대하는 자세부터 국가의 통치 이념까지 역사적 사실을 근거하여 서술해 놓은 다른 개념의 역사서라 볼만하다. 지금의 정치상황을 염두에 두고 이 책을 정독해 보면 저자가 전하는 메시지가 분명해 진다.

 

역사는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했듯이 역사는 끊임없이 반복한다. 역사 속에는 놀랍게도 지금의 시대와 비슷한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전 대통령 박근혜의 탄핵 사태는 이런 역사의 반복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중종반정으로 쫓겨난 연산군과 인조반정으로 쫓겨난 광해군을 보면 국가를 제대로 통치하지 못하면 민중에 의해서 쫓겨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그들 두 왕이 쫓겨난 이유를 한마디로 함축해 보면 소통하지 않고 철저하게 측근들만으로 정치를 했다는 것이다. 반대 세력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탄압하고 포용의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정설 역사서에서는 인조반정으로 인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광해군에 대해서는 재평가의 여지가 있다는 부분은 공감하는 바가 크다. 강력한 왕권을 함부로 휘두른 행태는 박근혜와 닮았다.

 

저자는 조선왕조가 500년 이상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을 백성을 위주로 정책을 폈다는 것, 민본정치를 편 결과라고 말한다. 우리가 흔히 왕이라고 하면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면서 굉장히 호화롭게 지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언론3사라고 해서 왕권에 대한 견제 기능도 강했고. 신하들이 옳은 말을 하는 것에 왕도 순응하는 제도적 장치가 돼 있었다는 것이다.

 

이 책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전통 시대라고 해서 무조건 낡은 것이라고 볼 게 아니라, 왕과 신하가 정책을 맞대고 강론하는 자세, 서로의 정견을 존중해 주는 태도 등은 본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조선 500년 역사에서 비록 절대권한을 가지고 있던 왕이라도 법을 준수하고 법에 의한 통지를 해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새 대통령은 이런 역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소통과 포용의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