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역사를 경계하여 미래를 대비하라, 오늘에 되새기는 임진왜란 통한의 기록 한국고전 기록문학 시리즈 1
류성룡 지음, 오세진 외 역해 / 홍익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때 조선의 재상이었던 서애 류성룡은 당시의 일을 기록해 이 책을 남겼다. 전쟁 시기의 조정과 군무, 백성과 전쟁터의 상황 등에 대해 몸소 체험한 것들을 기록해 후대에 반성의 거울로 삼고자 한 것이다. 징비록은 4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쟁이 끝난 후 수 많은 사람들이 읽어야 할 필수 도서 목록이기도 했다고 한다. 전쟁을 일으킨 일본에서도, 조선에 군대를 파견해 참전했던 중국에서도 많이 읽혔을 정도로 그 당시에 보기 드문 책이었다고 하니 새삼 서애 선생이 존경스럽다.

이 글을 번역한 세 사람의 필자들은 400년 전 쓰여진 징비록에 새겨진 뼈저린 반성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하고 있다. 징비록은 전황에 대한 경과뿐만 아니라 전란 발생의 원인과 조정의 대응에서 드러난 문제점 등을 기록하고 있다. 전란의 조짐이 있었는데도 당시의 조정은 당파 싸움 때문에 서로 다른 주장을 하게 되면서 전쟁에 대비한 아무런 준비를 갖추지 못 하고 전쟁을 맞게 된다. 부산 앞바다를 통해 밀어닥친 왜군이 파죽지세로 밀려오고 있는 상황에 한양이 함락되고 임금은 의주로 피난을 하게 된다. 당시 같이 피난 길에 올랐던 대신들이 전쟁에 임하는 이중적인 모습은 지금이나 옛날이나 변한 것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이 책의 저자 류성룡이 전란 당시 전황이 돌아가는 급박한 사정을 누구보다 가까운 곳에서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직책인 영의정이었으며, 조정의 여러 공문서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임진왜란에 대한 총체적인 기록으로서의 이 책이 갖는 가치와 매력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책은 전쟁의 경위와 전황에 대한 묘사에 그치지 않고 조선과 일본, 명나라 사이에서 급박하게 펼쳐지는 외교전을 비롯하여, 전란으로 인해서 극도로 피폐해진 일반 백성들의 생활상, 전란 당시에 활약한 주요 인물들에 대한 묘사와 인물평까지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적 기록물은 일찌기 없었다는 점에서 후대에도 많은 찬사를 받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때 상대 정파에 의해 탄핵의 위기에까지 몰렸던 류성룡이었지만, 전란을 회고하는 이 노정객의 안타까움과 반성의 심정이 당파적 증오를 넘어서 있었기에 이 책 징비록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