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야사록 1 - 실록이 전하지 못하는 놓쳤던 조선사
최범서 지음 / 가람기획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은 세계에서 그 유래가 없는 역사 기록물이다. 흔히 역사적 사실을 구분할 때 정사와 야사로 구분하는데 조선왕록실록은 정사이다. 정사의 기록을 승자의 기록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역사적 가치만큼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사료임에 틀림이 없다. 그런 면에서 조선왕조야사록은 야사라고할 수 있다. 이 책은 역사에 대한 탁월한 식견과 안목을 가지고 있는 최범서의 역작으로 '연려실기술'을 근간으로 각종 야사를 참고하여 조선의 500년 역사를 출간한 책으로 2권 중 1권이다.

 


태조부터 명종까지의 역사를 얘기하고 있다. 동 시대에 있었던 있었던 사건 중 실록에 없는 이야기를 모아 시대를 바꾼 결정적 사건과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흔히 야사는 풍속이나 전설 등 단순한 재미를 추구하는 얘기 쯤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니고, 역사책이다.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서 사용한 어휘는 거의 표준어인데 반해 이 책은 그러지 않고 거친 생활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는게 다른 면 중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 조선왕조실록과 비교하기에는 역사적 식견이 부족하지만 정사에서 보지 못한 이야기 실려있는 것은 분명하다. 정사에 비해 야사는 우리에게 다양한 역사적 사실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해서 정사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사의 결함을 보완해 주기도 하지만 당시의 시대상을 좀 더 자세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것은 정상와는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았겠다. 사료적 가치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사람은 누군나 역사적 사실을 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다.



 

정사에서 다루지 않은 것에 흥미를 느끼기도 하지만 정사에서 보기 힘든 역사적 뒷 얘기를 볼 수 있다는데 야사가 갖고 있는 장점이 아닌가 싶다. 사람은 누구나 호기심에 의해 다른 사람을 비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권력의 중심에 서 있는 역사적 인물들의 뒷 얘기라면 더욱 그렇다. 태조 이성계가  그의 다섯째 아들인 방원의 야심이 미워 벌였던 함흥차사 이야기 중 성석린에 관한 이야기라든지, 태종의 장자로 태어나서 세자가 될 수 없었던 자유인으로 남고 싶었던 양녕대군의 이야기라든지, 조광조가 죽게 된 이야기 등은 분명 흥미를 끄만한 이야기다. 정사는 궁궐에서 임금과 임금 주변에 포진한 측근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반해, 야사는 그들을 포함하여 그들 주변에서 벌어졌던 당시의 시대 상황을 폭 넓은 시각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정사도 야사도 우리의 역사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우리 민족의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짜집기 한 역사가 아니라 진짜 역사서를 복원하여 후세들이 우리의 역사에 대해 폭 넓게 공부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