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상상력 - 영웅과 우상의 시대를 넘어서
심용환 지음 / 사계절 / 2022년 1월
평점 :
이승만(1~3), 윤보선(4), 박정희(5~9), 최규하(10), 전두환(11~12), 노태우(13), 김영삼(14), 김대중(15), 노무현(16), 이명박(17), 박근혜(18), 문재인(19)
내가 첫 투표권을 가졌던 선거는 15대 대통령선거였다. 그때 우리나라는 지역주의가 강해 후보=지역이었다.
그땐 그랬다. 그래서 독재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인권을 유린한 자들도 권력은 계속 잡고 있었다.
이명박, 박근혜로 이어지는 권력은 박정희때부터 그들을 신격화 하던 지지층의 생각에 변함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도 경제는 살렸다. 우리가 이만큼 먹고 사는건 다 그때 덕분이다.” 아직도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 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선 시민의 희생도 정당화되는거구나. 답답하고 화가나지만 사람의 마음은 변하기 힘든 것. 이들이 정치에 대한 생각은 어느 한 곳에 매몰되지 말고 객관적으로 전화 후를 생각하면서 어떤 것이 미래지향적인지, 어떤 것이 다익을 위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는 눈과 귀를 가져야한다고 생각하게 했다.
우리나라 대통령은 직선제로 뽑고 5년의 짧은 시간동안 능력있는 사람들과 최선의 결과를 내야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통령이 3년까지는 최선을...(?) 결국엔 비자금 문제, 국정농단, 자식의 비리 등등으로 힘이 빠져 레임덕 현상이 일어나고 만다.
대통령이라면.. 한 나라를 이끌어가는 리더라면 굳건한 애국심을 바탕으로 당연히 희생하고 다익을 위한 선택을 해야하는 건데 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살았을까. 사람위에 서고 싶었던 것일까? 하지만 그런 고민을 심각하게 하면서 나라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자 노력했던 대통령들도 있었다.
"김영삼과 김대중의 시대를 들여다보는 일은 헌법에 따라 유한한 권력을 손에 쥔 리더가 어떤 성과를 이룰 수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는 일이다."(서문)
🎈
개혁의 선례를 만든 14대 김영삼 대통령
나의 단상으로 김영삼 대통령은 야당에서 여당으로 바꾼, 아들 문제가 불거져 레임덕에 빠진 대통령이었다고 생각했는데 #리더의상상력 을 통해 지금 우리가 생활하면서 이용하는 많은 정당한 것들이 YS가 이룬 업적이었단 걸 알았다.
전두환을 중심으로 군인들로 구성된 각계각층의 수뇌부들의 모임 하나회를 숙청하고 금융실명제를 도입한다. 서울 중심에 있던 조선총독부 건물을 해체해 자국민의 가슴에 응어리를 없애기도 했고, 공직자들의 도덕성 검증을 위해 재산을 공개하기도 한다.
이른바 ‘개혁’을 시도한 것이다. 하고자 하는 일은 반드시 해내는 대통령, 홀로 고민하고 깊이 고뇌하는 시간을 거쳐 당위성에 따라 결단하는. 그의 모든 점이 성공적이진 않다고 해도 그의 업적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거기에 더해지고 더해져서 우리 삶의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
그의 상상력은 위기를 기회로!
15대 김대중 대통령
나는 내가 생각하는 가장 정치인다운 정치인으로 김대중 대통령을 꼽는다.
국회, 토론이나 여당에 큰 소리칠 때의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 매우 당당하게 아주 논리적으로 (손가락질하며ㅎㅎ) 따져 상대의 입을 막아버렸던. 그리고 햇볕정책.
그 정도의 앎 이었는데 책을 통해 지금의 시대를 만들어 준 고맙고 감사한 꼭 필요했던 대통령이었다는 걸 알게 됐다.
박정희에 의해 일본에서 죽을뻔한 사건을 자세히 읽으며 부정부패의 리더에게 입바른소리로 국민들의 지지를 얻고 있는 정치인은 눈엣가시였겠지. 하지만 그 또한 잘 버텨준 DJ덕분에 미래에 대한 희망의 빛은 꺼지지 않았던 것 같다.
그가 질기도록 붙잡고 늘어진 북한과의 관계. 물론 북한은 예나 지금이나 뒤통수치는데는 변함이 없지만 그의 노력으로 관계가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오고 있다고 생각한다. 미래엔 ... 희망적이겠지....?? 경제적으로 가장 큰 위기였던 IMP외환 위기의 극복도 DJ의 큰 업적 중 하나이다. 대통령으로서 해야 할 당연한 일이지만 그가 아니면 누가 대체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YS, DJ의 개혁과 변화에도 물론 흠은 있었고, 모든 것이 성공적이진 않았다. 하지만 그들이 시도하고 바꿔놓은 것들은 지금보다 잘 살고 싶은 국민들의 염원과 의지에 의해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정치에서 개혁은 누가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어떤 방법으로 어떤 속도인지도 중요하고 그것이 반드시 연속적이어야 한다.
우리나라 대통령 임기는 5년으로 매우 짧다. 그 시기에 뭔가를 이뤄내는건 쉽지 않다. 하지만 옳은 방향으로 서 있다면 그 뒤에 다른 리더가 계속 전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는 것. 국민의 몫이다. 그렇기 때문에 늘 정치에 관심을 갖고 있어야 하고 소신있는 투표를 해야한다. 그리고 선택된 우리의 리더를 믿고 지지해야 할 것이다.
곧 대통령 선거이다. 지금의 대통령 후보로 지목되고 있는 이들은 과연 어떤 상상력을 가지고 있을까. 한치앞을 모르는 시대, 그리고 뭔가 계획한 것이 결과를 내기도 전에 빠르게 변화하는 이 시대에 이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할까,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국가로 바르게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능력을 갖추고 있을까?
"정치는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며 대통령은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다."(서문)
#리더의상상력
#심용환
#김대중과김영삼
#2022대선
#투표합시다
#나는쫌아니많이답답하네
#저는집이없어청약통장이없어요
#가난한사람은자유를몰라요
#도서지원
@sakyej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