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 아이 (양장)
베아트리체 알레마냐 지음, 최혜진 옮김 / 이마주 / 2021년 12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느 날 한 마을에 유리로 된 아이가 태어났어요.
맑게 반짝이는 투명한 아이는 해질녂엔 색이 바뀌고 빛 아래에선 천 개의 거울처럼 온 세상을 비추는 등 너무 아름다워 세상 곳곳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아요.
하지만 유리 아이와 부모님은 이런 관심은 아무래도 상관없었어요. 하지만 마음이 쓰이는 건 딱 하나, 아이의 생각을 훑어볼 수 있다는 것이었죠.
어렸을 땐 걱정을 미리 들여다보고 덜어주는 등 아이를 이해해 좋은 듯 했지만 아이가 점점 자라면서 머릿속의 긍정적인 생각 뿐 아니라 부정적인 생각까지도 다 드러났기 때문에 사람들은 흉한것들을 꼭 보여줘야만 하느냐고 질타를 하기 시작해요.
게다가 유리 아이는 너무 예민해 슬프거나 화가나면 몸이 금이 가기도 해요. 그래서 맑고 투명한 유리 아이는 마을을 떠나기로 해요. 슬픔의 눈물이 커다란 수정이 되어 떨어지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슬픔을 안고 마을을 떠난 유리 아이, 아이는 행복을 찾을까요?
사람들의 시선속에서 늘 외로웠던 아이, 아이는 삶의 방법을 찾을까요?
아름다운 아이의 마지막 이야기는 책 속에서 확인해보세요.
🔖
유리 아이가 마을을 떠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원치 않지만 적나라하게 드러난 나의 머릿속이 나의 고민과 사유의 시간을 거쳐 나만의 해결방법을 찾기도 전에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평가받고 판단하고...
유리아이에게 ‘나’는 있었을까?
외모만 보고 아름다워 관심을 갖고 감탄하더니 생각이 드러나니 부정적인 생각을 꼭 드러내야 하냐고 질타하는 마을 사람들. 보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도 없고, 선택의 여지없이 그대로 드러나는 머릿속이 나와 달라 힘들 것 같다고 위로해는 사람들도 한 명도 없다. 유리 아이 스스로는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는 내면의 힘을 키우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유리 아이를 바라보는 타인들은 자신의 시선이 상처가 될 수 있음을 아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그림책의 마지막은 희망적이다. 아름답고 투명한 유리 아이가 그 모습을 유지한 채 상처에 금가지 않고 단단하게 서는 모습을 볼 수 있어 다행이다.
가끔이나마 갈등이 깊어지고 소통이 안될 땐 ‘대체 무슨 생각인지 머릿속을 들여다보고 싶다’, 가끔은 ‘내가 이렇게 힘들고 답답한데 누가 좀 알아봐주고 해결해주면 좋겠다’ 라고 생각했던 내 자신에게 ‘너만 그런게 아니야’ 라고 위로의 말을 건네주고 싶다. 토닥토닥
#좋그연서평단
#유리아이
#베아트리체알레마냐
#이마주
#지나지나가읽은책
@imazu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