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9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연진희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지만 아버지가 돌아온 이후 키티에게는 자신이 몸담고 있던 세계가 모두 변했다. 그녀는 자신이 알게 된 모든 것을 거부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녀는 자기가 바라는 대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속여 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는 마치 잠에서 깨어난 것 같았다. 그녀는 위선과 오만 없이 자기가 도달하고자 하는 그 경지를 고집한다는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절실히 느꼈다. 50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신 열린책들 세계문학 10
프란츠 카프카 지음, 홍성광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봄>에서 읽은 책들은 대체로 만족도가 높다. 더 많이 찾아보고 알아보고 알게되어서인것 같다. [변신]은 좌절감 또는 낮은 자존감이 느껴질 때마다 뭔가 복받쳐 오는 설움처럼 스물스물 기억에서 기어나올 것만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보다도 원서 읽기방법을 소개해주고 읽으면서 호흡끊는 단어들을 친절하게 모아둔 워크북이 매력적이다. 아직 초반이지만. Preview - Reading - review 의 방법으로 읽으니 속도도 붙고 읽는 재미가 생겼다. 내용도 물론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부처럼 책을 읽고 있던 방향에 변화를 준 한마디와 마침 돌아온 순서의 이 소설은 마치 영화를 보듯 생생하게, 그리고 술술 읽히고 있다. 카뮈의 책이라봤자 <이방인>밖에 더 읽진 않았지만 뭔가 나도 그 현장에 있는 것만 같은 느낌을 만들어주는 카뮈의 문장들은 (물론 번역도 큰 역할을 하겠지만) 참으로 신기하다.
그 중 이 부분은 거창하게 생각할 것도 없이 사소한 내 삶과 그 변화의 시점들에서 어쩐지 새겨들어야 할듯한 내용이다.

전쟁이라는 것은 필경 너무나 어리석은짓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전쟁이 오래가지 않는다는 법도 없는 것이다. 어리석음은 언제나 악착같은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늘 자기 생각만 하고 있지 않는다면 그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 시민들은 다른 모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자기네들 생각만 하고 있는 셈이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휴머니스트들이었다. 즉 그들은 재앙의 존재를 믿지 않았다. 재앙이란 인간의 척도로 이해할 수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재앙이 비현실적인 것이고지나가는 악몽에 불과하다고 여긴다. 그러나 재앙이 항상 지나가 버리는 것은 아니다. 악몽에서 악몽을 거듭하는 가운데 지나가 버리는 쪽은 사람들, 그것도 첫째로 휴머니스트들인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대비책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시민들이 딴 사람들보다 잘못이 더 많아서가 아니었다. 그들이겸손할 줄을 몰랐던 것뿐이다. 그래서 자기에게는 아직 모든것이 다 가능하다고 믿었으며 그랬기 때문에 재앙이란 있을수 없는 일이라고 추측했던 것이다. 그들은 사업을 계속했고 여행을 떠날 준비를 했고 제각기 의견을 지니고 있었다. 미래라든가 장소 이동이라든가 토론 같은 것을 금지해 버리는 페스트를 어떻게 그들이 상상인들 할 수 있었겠는가? 그들은 자신들이 자유롭다고 믿고 있었지만 재앙이 존재하는 한 그 누구도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버드 부모들은 어떻게 키웠을까 - 명문대 학생들의 성장 과정을 추적 조사한 하버드 프로젝트가 밝힌 성공의 8가지 공식
로널드 F. 퍼거슨.타샤 로버트슨 지음, 정미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이미 알고 있는 내용들이겠지만 내가 실천하지 못하는 무엇이거나 자꾸 포기하게 되는 무엇일지도 모른다. 결국은 나의 실천없는 행동들로 인해 아이들의 길 마저도 더 넓혀줄 수 없다는건 매우 슬픈일이다. 그래서 제목이 너무 속보이지만 이 책을 읽어보고자 한다. 마구 섞여있는 방법들을 명쾌하게 정리해줄 수 있고 조금은 더 쉽게 실천할만한 그런 학부모 공식이 정말 있는지 궁금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