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원 기행 - 역사와 인물, 교유의 문화공간
김종길 지음 / 미래의창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정원 기행

 

중국정원은 인공으로 자연을 만들고, 일본은 집 안으로 자연을 끌어들이고, 한국은 자연속으로 들어 간다.

 

 

한국정원 관람법은

미음완보(微吟緩步) : 풍경을 읽는 느긋한 마음은 느린 걸음에서 시작된다. 느릿하게 걸으며 나직이 읆조리는 것에서 정원관람은 시작된다.

공간구성을 살펴보며, 공간에 대한 감각을 익힌 다음,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까지 끌어내는 것이다.

 

 

누군가 물었다.

우리 옛 정원 보는 법을 ...

 

다만, 이렇게 답했다.

오감을 열어젖힐 것,

풍경 바깥을 살필 것,

그 속을 거닐 것,

나직이 읊조릴 것, 가만히 응시할 것, 깊이 침잠할 것...

 

 



옛 정원을 조성한 정원가들은 대부분 문인이었다.

그들은 현실 세계와의 싸움에서 잠시 물러나 다시 도약하기 위한 장소로,

때로는 학문과 휴식의 장소로,

혹은 세상과의 일정 저도 단절을 위한 은거지로

산수 수려한 적당한 곳으르 골라 정원을 조성했다.

조선의 정원은 은자(隱者)의 정원이다.

눈에 띄지 않고, 화려하지 않고, 세속을 거부하며,

미완서의 매력을 지녔다.

노자의 말 속에서 한국 정원의 묘미를 찾아본다.

"크게 완성된 것은 찌그러진 듯하며

크게 곧은 것은 굽은 듯하며,

크게 정교한 것은 서투른 듯 보인다." 

 


+

"정원을 가꾸는 시간"

내 마음의 정원을 가꾸어 가는 밀도 있는 촘촘한 시간을 바라며

매일매일 내 마음의 정원을 가꾼다.

 

 

 

 +

책을 읽다가

​오빠랑 연애때 생각이 났다.

여행 참 많이 다녔는데...

우리도 걸었던 그 길이 몇군데 나와서

더욱 반가웠다.

 

 

​+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비행기타고 여행도 못 가고...

국내도 사람들 북적이는 곳에 가긴 그런데...

 

이 책이 딱이네...

 

찬찬히, 조용히 둘러보고

마음건강 챙겨오기 딱 좋은 길잡이 안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