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렇게 말해서 미안해 - 말하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사람들을 위한 대화법
박민영 지음 / 책들의정원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때 그렇게 말해서 미안해

 

꽃을 자라게 하는건 천둥이 아니라 비.

 

행복한 시작은 말 한마디

우리는 행복을 각자 나름대로 정의할 수 있지만 행복을 느끼게 하는 요인은 세계적으로 비슷하다. 그것은 깊은 사회적 연결이다. 라는 하버드 대학 숀아처 교수의 말처럼 사람들과의 관계와 연결 안에서 행복을 찾는 것이 사람의 본능이다.

 

관계에 필요한 것은 공감

모두 기분 좋은 대화를 할 수 있는 방법

내용보다는 감정에 집중

2. 언어에도 쿠션이 있다.

3. 칭찬, 인정, 격려를 많이 사용한다.

 

매끄러운 거절을 위한

부탁에 응하기 전에 잠시 생각해 보자. 이 일은 내가 꼭 해야만 하는 일인가... 다른 사람도 할 수 있는 일인가...

2. 바로 거절이 어려우면 생각할 시간을 요청하자.

3. 내 능력 밖의 일이라면 그 자리에서 거절하자.

4. 상사의 지시사항에 라고 거절하고 싶다면 상사의 성향을 파악하라.

 

나약한 언어를 버리고 당당한 언어로 말하자!

평소습관을 확인해 보자.

-나약한 언어

딱히 없지만...

굳이 말하자면...

특별한게 없어요.

지극히 평범하죠.

다들 그렇겠지만

이 정도밖에 못하지만...

별 거 아니에요.

아직 부족해요

-당당한 언어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잘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만 보충해 주세요.

열심히 한 덕에 이렇게 좋은 결과가 있었네요.

제 능력을 인정해주셔서 이번에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2. 말끝을 흐리지 말고, 또박또박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글쎄요. 그게 좋을 것 같습니다만이 아닌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하고 서술어까지 제대로 말하자.

3. 단문으로 말하자.

나약한 말투나 말끝을 흐리는 습관은 문장이 길어질수록 더욱 확실히 드러난다.

주어와 목적어 서술어로 이루어진 단문으로 간단하고 짧게 말하는 연습을 하자.

 

스스로를 완벽하게 지키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강함이다.

 

말은 습관이고 습관은 무의식의 투영이라는 것을 잊지 말기를

당신이 사용하는 말이 당신의 가치를 나타낸다는 것을

그 말의 영향력과 파장에 대해 고민해 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