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의 계곡
스콧 알렉산더 하워드 지음, 김보람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1월
평점 :
시간의 질서 너머 삶과 죽음을 철학하는 사랑의 작별 인사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중요한 여러 경험에 이해 가능한 빛을 비추려는 시도, 그것이 내가 생각하는 철학이다.”*
이 책을 읽으며 자주 떠올랐던 문장이다. 소설이지만 예견된 상실 앞에 인간은 어디까지 자유로울 수 있는가하고 끊임없이 물으며 삶에 빛을 비추기 때문이다.
삶의 끝에 찾아오는 죽음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 우리는 그럼에도 거대한 슬픔 앞에 불가능할 애도를 행하고자 할 때가 있음을 알고 있다. 만약 이 불가능함에 약간의 틈을 벌어준다면 어떨까? 물리적으로 과거와 미래 사이의 여행을 가능하게 하여 그리운 사람을 과거 속에서 직접 만나볼 수 있도록 열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만남이 인간의 상실과 슬픔을 진정으로 어루만질 수 있을까. 정해진 끝을 바꿀 수 없는 인간의 삶 속 빛을 잃지 않는 모순적인 희망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이러한 특수한 사고 실험 속에 인물들을 배치하여 상실과 슬픔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답하기 위한 철학적인 여정을 다룬 책, 바로 『시간의 계곡』이 되겠다.
산과 호수, 시내와 과수원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이 작은 마을은 언뜻 평범한 작은 시골 같지만, 특별한 점이 하나 있다. 서쪽에는 20년 전의 과거가, 동쪽에는 20년 후의 미래가 펼쳐지고 있는 또 다른 마을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 사이의 경계를 넘는 것 또한 극히 제한적으로 허용되는데, ‘현재’의 마을 자문관에게 비통함으로 인해 일상이 어려울 정도여서 불가피한 애도 여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할 경우만이 해당된다. 이렇듯 과거와 현재 사이의 경계를 넘는 것은 자문관의 판단 아래 통제되는 배경 속에서 주인공 오딜은 어머니의 강한 권유로 ‘자문관’이 되고자 힘쓴다. 한편, 오딜은 다른 마을을 방문하는 ‘애도 여행’이 불필요하다고 믿으며 현재 속에서 슬픔을 이겨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그에게 한 가지 사건이 벌어진다. 어느 날 마스크를 쓴 방문객을 발견한데다가 그들의 정체마저 알아차리게 된 것이다. 누가 비극을 맞게 되는지 알게 된 오딜은 여전히 자신의 입장을 고수할 수 있을까. 오딜은, 마을은, 그리고 자문 기관은 상실을 겪는 사람들에게 어떤 변화를 줄 수 있을까.
고요하고 섬세하지만 돌진하는 듯한 서술에 몰입하며 읽었다. 작가가 직접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겪으며 쓰였다는 걸 알게 되어 더욱 진솔하게 다가오기도 했는데, 미처 작별 인사를 건네지 못하고 떠나보낸 사람들에게 바치는 헌사 같다 느꼈기 때문이다. 작가의 경험과 고민이 담긴 소설인 만큼, 시간 여행이라는 환상적인 요소를 즐기면서도 기억과 감정, 상실과 극복의 상관성에 대해 잠시 고민해볼 수 있었던 깊이 있는 이 책을 오래도록 다시 펼쳐보게 될 듯하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감상입니다.
*이 문장은 피터 비에리의 『삶의 격』에서 발췌했어요!
추신. 제게도 과거의 마을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할까 생각해봤는데, 음… 적어도 세 번은 필요할 것 같아요. 어쩌면 아예 가지 않는 것도 나을지도요. 입맛이 씁쓸해졌던 상상이었어요.
_
“심사 프로그램은 다른 사람의 슬픔을 저울질하는 일이라고 네가 그랬잖아……. 만약 그게 네 직업이 된다면 아마 너는 슬픔에 점점 익숙해질 거야. 마치 슬픔이라는 감정 위에 서 있는 사람처럼.”
p.117
“현재란 언제든 깨질 수 있는 연약한 것이죠.”
p.133
“아닙니다. 서쪽으로 간 사람이 거기서 개입을 일으키면, 시간이 파도처럼 그를 덮쳐서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삼켜버립니다. 아주 단순하고 무자비하게.”
p.137
_
2025.02.06
@lilybooks_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