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말린 공주 풀빛 그림 아이
다비드 칼리 지음, 파티냐 라모스 그림, 박선주 옮김 / 풀빛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색감을 볼 수 있는 '투르말린 공주' 그림책을 읽어보았습니다.

풀빛 출판사에서 나온 '투르말린 공주' 그림책은 공주에 대한 내용일거라는 생각을 가지고 아이들과 펼쳐보았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공주입니다. 투르말린공주는 천연원석의 색깔처럼 밝은 하늘빛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주를 본 사람은 없습니다. 그리고 탑에 갇혀있어서 가장 용감한 기사만이 구할 수 있습니다.

자! 어떤 기사가 투르말린 공주를 구하러 갈까요?

그림책을 한장 한장 넘겨가면서 그 기사들을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다양한 보석의 이름들과 함께 그 이름을 가진 기사들이 등장합니다. 기사의 이름에 걸맞는 색깔과 색감들이 독자들에게 흥미를 더해줍니다.

글밥은 그렇게 많지 않고 이야기도 기사들의 등장이 나열되는 것이 대부분 이지만 이 색감들을 보면서 아이들과 눈이 바빴습니다.

투르말린이 무엇일까?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정신적 치유의 원석으로 부정적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주술시 몸을 지켜주는 원석이라고 합니다. 땅에 묻으면 땅이 정화된다고 믿는 치유의 원석입니다. 저자는 왜 투르말린이라는 보석의 이름을 공주에게 붙여주었을까요?

책 마지막 결론을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투르말린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습니다.

투르말린 공주를 구하러 온갖 역경을 이겨내고 온 기사는 크리스털 기사입니다.

마지막 책장을 펼치기 전까지 정말 예상하지 못했던 그런 결말의 책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글 '기사가 투구를 벗자 더욱 기뻤답니다' 라는 글귀가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많은 설명이 생략된 채로 크리스털 기사와 공주의 만남이 누가보아도 사랑하는 사이라서 어른의 눈으로는 충격이었습니다.

같이 책을 읽은 아이도 '어? 여자네' 하면서 기사가 여자일 수 있다는 사실에 놀라워했습니다. 순간 어떤 말을 해줘야 하는지 매우 난감한 저를 보면서 어른들의 편견을 마주할 수 있었지요.

작가는 투르말린 보석빛의 눈을 가진 아름다운 공주의 외로움과 자신에 대한 편견을 이야기 하고 싶었을까요? 아니면 단순히 같은 성의 사랑에 대한 결말을 통해 아이들에게 편견을 낮추고 싶었던 것일까요? 저는 후자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림책 마지막 장면에 무지개가 떠올라 있습니다. 무지개는 동성애의 상징이라는 것을 예전에 들어 본 적이 있거든요.  

단순히 공주 이야기라고 하기에 많은 생각이 들게하는 그림책이었습니다. 신선한 충격이지만 색감이 예쁘고 다양한 보석이름이 나오기에 여자아이들이라면 좋아할 것 같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풀빛 #투르말린공주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