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그 책을 읽는거지? 책이란 무릇 우리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되는 거야"

 

제대로 머리를 도끼에 찍혔다.

도끼는 나무를 찍는데 쓰이는 줄 알았는데 내 안에 얼어붙은 감수성을 자극하는 도구로 충분히 손색이 없었다. 오랜만에 꼭꼭 씹어서 천천히 음미하며 읽은 책이다. 내가 읽던 책들의 대부분은 지식을 전하거나 스토리가 풍부한 책을 읽는다. 나 역시 그것에 만족했다. 자기계발서나 에세이집을 잃지 않는 이유는 자기계발서는 작가가 시종일관 잔소리하는 느낌이 강하고 에세이집 역시 남의 생각을 구태여 내가 알고 싶지 않은 이유에서 이다. 또한 언어를 미화하여 아름답게 포장하는 말에 쉽게 감동을 받지 못하는 편이기도 하다.

 

그런데 책 안에 이렇게 아름다운 말들이 나의 감성을 자극하고 읽고 또 읽고 내 안에 꾹꾹 눌러담아보기는 처음인 것 같다. 박웅현작가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불가능할 지도 모를 일이다. 한 구절 한 구절 어린아이에게 이야기해주듯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쫑긋 세우고 들었다. 자연의 아름다움, 자연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말,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 그리고 이미 고인이 되고 없지만 옛 현자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한 구절도 놓치고 싶지 않아 정신을 한 곳에 모아 열심히 읽었다.

 

일년에 읽은 책이 몇권(?)이 중요하고 인터넷 서점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베스트셀러에 집중하던 내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광고인이었기에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무단히 고민하던 그의 모습이 고스란히 느껴졌고 그런 고민으로 사물하나 꽃하나 그냥 넘겨보지 않고 의미를 부여하는 그의 철학이 책을 읽을 때도 밑줄치고 오늘 읽고 내일 읽고 또 읽어서 언어가 전해주는 메세지에 주목하는 그의 모습을 배우려 한다. 천천히 느림을 배울 수 있던 책은 도끼다. 감히 최고라고 이야기해주고 싶다.

 

광고인 박웅현이 이 책을 통해 소개해준 책 읽어보고 다시 한 번 이 책을 읽어봐야 겠다~

그때는 나 역시 밑줄 그으며 공감하는 부분이 더 많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