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우울
쉬사사 지음, 박미진 옮김 / SISO / 2017년 10월
평점 :
절판
현 시대에는 육체적으로 아픈사람도 적지않지만 그만큼 정신적으로 아픈사람이
정말 많다. 더욱이 정신적으로 아픈사람은 어디가서 호소 할 만큼의 사회적인
시스템이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정신적인 아픔을 마음 깊이 내버려둔채로
상담이나 어떤 치료부분에 소홀히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즉 침묵하는 이들이
많다.
평소 우울한 기분이 든 적도 많았고 우울증에 대해 궁금한 찰나에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은 저자가 직접 겪은 일들을 바탕으로 일어난 일들을 이야기로서
보여준다.
우울형 외톨이라는 말을 책에서 처음 접했다. 갈등과 모순을 내면화해서 자기
자신을 힘들게 하는 선수이며 나쁜기분이나 좌절 그리고 자기 생활을 컨트롤
할 수없고 엉망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그런 부정적 에너지나 갈등들을
내면화한다. 하지만 이들은 자기가 상처받았다고 해서 다른 사람을 해치려
하지 않고, 납득할 수 없는 모든 것을 자기 마음속에 묻어 둔다.
이런 유형은 대부분 착한 사람들이다.
우울증을 이겨는 방법 중에는 소위 행동파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이는
어떤 일을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우울증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얻는 것이다.
심리학자들은 명상이라는 행위로 인간의 사유 체계를 바꿈으로써 생각을
좋은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고 한다.
저자가 택한 방법은 달리기이다. 우울한 사람들은 언제나 마음을 쏟아낼
배출구를 찾지 못하고 고독에 몸부림치며 이해받지 못해 속앓이를 하게된다.
저자는 누군가로부터 비난이나 우울한 마음이 들때 여느 때보다 더 긴 거리를
달림으로써 육체적으로 소모시키고 자신의 능력의 한계를 인식한다고 한다.
더 긴 거리를 달린 만큼 결과적으로 자신의 육체를 근소하게나마 강화한 결과를
낳기때문이다. 그만큼 더 단련하는 것이다.
책 내용에서 저자가 우울증에 걸렸고 좀 처럼 나아지지 않아 남자친구 몰래 혼자
여행을 가며 자신을 찾으려고 노력을 하는 와중에 남자친구에게 연락이 와 만나보니
남자친구가 우울증에 걸렸다는 것이다.
그래서 여자친구를 이해하게 되었다며 마음을 고백하게 된다.
맞다. 아무리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해도 상대방에 입장에 서서 생각해 보지 않으면
대수롭지 않게 그냥 넘기게 되버리고 소홀해 질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누구나 일생의 어느순간에 어려움이 찾아온다.
스스로 용기를 갖고 다른사람에게 기대지 말고 자신을 믿고 긍정적으로
고군분투해서 끝까지 살아간다면 분명 더없이 좋은날이 올 꺼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