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침의 순간 - 영원한 찰나, 75분의 1초
박영규 지음 / 열림원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란 무엇일까.. "인생은 정말 무상한걸까"라는 의구심을 가졌었고

시간이 흐르고 흐를수록 더욱더 그러한 의문이 커져갔습니다.

그러던 중에 깨침의 순간이라는 제목부터가 끌리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은 달마대사부터 여러스님들의 일화와 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서 말해줍니다.

문제의 모든 것은 마음에서 일어나 마음에서 해결이 됩니다. 깨침을 하기 위해선

자신이 갖고 있는 관념, 지식의 벽을 깨뜨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깨침이

없습니다. 왜냐면 벽을 깨뜨려 깨지는 것으로부터 깨침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여러 일화를 보면서 옛 선사들이 제자들에게 일러주고자 함은 지혜는 지식이

아니며 그 방법을 알았다하여 지혜를 가진자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지혜는

어떤 것이든 가리고 않고 풀어낼수 있어야 하며 즉 그 본질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흔히 수행을 하는 방법으로 좌선을 많이 택하는데 마치 그것이 수행의 왕도라도

되는양 떠벌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좌선을 형식일 뿐 껍데기에 지나지

않습니다. 수행의 방법은 어떤것이든 중요하지 않고, 정말 중요한 것은 수행을

하는 이유입니다. 행위에 집착하는 사람은 모방이외에 아무것도 하지를 못합니다.

깨달음의 길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머리를 깎아서 구도자가 되는것이고, 좌선을

해야 깨달음을 얻는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어떤 상태에서든, 어떤 모습으로든, 어디에서든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껍데기를 좋아합니다. 그것에 현혹되어 본질을 보는데에 방해받지 않아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대목은 자기 속에 깨달음이 있다는 것입니다. 스스로가 바로 부처입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끊임없이 바깥에서 부처를 찾고 있고 바깥에서 안식처를 찾고

있습니다. 그러하다 보니 결국 옛 부처에게서 자신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옛 부처은 갔고 중요한 것은 자기자신입니다. 자신의 깨달음을

옛부처가 대신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깨달음의 관건은 어떻게 살고 있느냐입니다. 무엇보다 자유로워야 하며 자기안에

자유를 마음껏 누릴수 있다면 그가 곧 부처라는 것입니다.

자기안에서 자유로우며 얽매이지 않는 삶 그게 바로 깨침의 시작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