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스쿨버스 운전사입니다 - 빈털터리 소설가와 특별한 아이들의 유쾌한 인생 수업
크레이그 데이비드슨 지음, 유혜인 옮김 / 북라이프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20170929_080914.jpg

 

작가인 크레이그 데이비드슨이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해준 특별한 1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변변한 일자리조차 구하지 못해 가난과 절망에 빠져있던
저자는 우연히 우편함에 꽂혀 있던 구인광고. 저자는 스쿨버스 운전사가 되어
일터에서 경험했던 일들을 메모하며 글을 풀어갑니다.

많은 사람들은 장애인이 곁에 있으면 불편해합니다. 편견이기도 하고 일반적이라는
우리가 만들어놓은 기준을 가지고 잣대를 대며 불편해합니다. 책에서도 특수아동
노선을 그만 두겠다고 애원하는 운전사도 한둘이 아니며 흔한일이고 합니다.


하지만 버스를 보는 남들의 시선에 손가락질과 놀림 비웃음이 있다하더하도 버스안에
아이들은 개의치 않았고 큰버스가 아닌 작은버스로도 만족하고 있었습니다.
크레이그는 자신의 기준에 맞춰 아이들 바꾸려하며 그런 함정에 잠시 빠져 있었지만
아이들은 어른과 달리 현실을 다르게 다른관점으로 본다는것을 이해하고 깨닫기
시작합니다.
이처럼 사물을 어떤시선으로 보는가의 차이가 생각을 바꿔주며 현실의 상황을
다르게 보게됩니다.

 

그리고 크레이그자신이 그전까지 회피해왔던 책임감을 스스로 인정하며 단지 작가가
되기만을 바랐고 스스로 갇혀있던 자신.
아이들을 돌보면서 크레이그 자신은 책임감을 느끼며 오히려 크레이그를 마법처럼
바꿔줍니다.

 

20171011_093637.jpg

 

인간의 불완전성을 깨닫고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사실. 몸도 마음도 완벽한 이상을
추구 갈망하는것도 불완전하다는것을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태어날때부터이거나
나이가 들거나 상황이바뀌거나 어찌되었건 사람은 불완전한 존재입니다.
즉 오히려 우리들이 불완전하기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에게도 깊이 빠질수있다는
진리를 보여줍니다. 불완전하기에 아름다운것입니다.

 

아이들과의 일상적인 대화와 저자의 유머러스함이 어우러져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스스로의 인생자체의 강함을 느꼈으며 때로는 정말 현실적으로 직시하며
깨닫게 되었으며 나 스스로도 다시한번 내가 기존의 가졌던 생각들을 틀을
변화시킬수 있었으며 느낀바가 많았으며 많은 사람이 읽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