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고전 복식 연표 - 비잔틴 시대부터 20세기 초반 유럽 고전 복식을 한눈에
STUDIO JORNE 지음, 윤진아 감수 / 성안당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잔틴 시대부터 20세기 초반 유럽의 고전 복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시대별 유럽의 남녀 복식 변천사를 볼 수 있게 연표로 재구성한 <유럽 고전 복식 연표>는 남녀 의복, 헤어스타일 패션 아이템을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상세한 설명으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목차
비잔틴 제국 시대 - 로마네스크 시대 - 고딕 시대 - 르네상스 시대 - 바로크 시대 - 로코코 시대 - 엠파이어 시대 - 로맨틱 시대 -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반


구성의 매력
첫 면에는 각 시대에 따라 개괄적인 설명이 나와 있어 그 시대의 상황과 남여 복식의 문화를 이해하기가 더 좋습니다.

유럽 고전하면 14세기부터나 떠올리게 되는데, 비잔틴 제국 시대와 로마네스크 시대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작가들이 얼마나 열심히 조사하고 고전 복식에 대해 자세히 보여주려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연대표로 작성하여 복식의 변천사를 보여주기에 편집적인 면에서 어떤 식으로 나타낼지 궁금했는데, 남녀의 복식 문화를 종이의 앞뒷면을 접어서 펼치게 하는 기발한 방법으로 책을 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분할하여 낱권처럼 펼칠 수 있게 한 점 역시 독자들이 손쉽게 열어보고 확인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장점으로 여겨집니다.


인상깊은 장면
저는 바로크 시대와 로코코 시대의 여성 의복의 연표별 일러스트를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유럽 고전으로 미디어에서 가장 많이 접한 시대가 16세기~18세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등장이 몰고 온 유행 스타일이 익숙하면서도 패션 아이템까지 꼼꼼하게 설명이 나와 있어서, 명칭으로만 알고 있던 것들을 그림으로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남성 의복은 고딕 시대(13~15세기)나 르네상스 시대(14세기 말~16세기)가 영화나 외국 드라마를 통해 익숙해서 호기심이 많이 갔던 시대였습니다. 현대와 다른 남성의 의복 역사를 보면서 그 시대의 남성들의 부와 지위의 상징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의복이 선택된 점은 현대와 다를 바 없다는 생각에 사람들의 생각은 비슷하구나 싶었습니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
각 시대별 의복의 변천사를 모아서 한눈에 보기 편하게 나온 책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물을 손쉽게 얻어낸다는 점에서 <유럽 고전 복식 연표>는 유럽 고전 복식을 찾아봐야 하는 소설/웹툰 작가나 디자이너에게도 도움이 되며, 유럽의 역사를 문화와 함께 이해하기 위한 학생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본 서평은 ‘성안당’이 로사사에서 진행한 <유럽 고전 복식 연표> 서평이벤트에 당첨되어 자유롭게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