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자 신데렐라
리베카 솔닛 지음, 아서 래컴 그림, 홍한별 옮김 / 반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방자신데렐라 #리베카솔닛 글 #아서래컴 그림 #홍한별 옮김 #반비출판사 #동화재해석 #다시쓰는동화 #새로운신데렐라이야기




<해방자 신데렐라>는 리베카 솔닛이 새롭게 해석한 동화입니다. 아서 래컴의 실루엣 그림을 마음에 들어해서 이 그림으로 선택했다고 작가의 말에 나와 있습니다. 실루엣이기에 ‘다른 이미지처럼 인종이 결정되어 있는 것 같지 않아’서 라고요. 그림마저 신중하게 선택하는 그녀가 들려주는 새로운 신데렐라 동화 이야기로 들어가 보아요.



리베카 솔닛 글, 아서 래컴 그림





기존 동화와 줄거리에서 차별점

<해방자 신데렐라>가 기존의 신데렐라 동화와 줄거리에서 차별점은 후반부에 가서 두드러집니다. 기존의 동화는 무도회에서 유리구두를 떨어뜨린 신데렐라가 나중에 그 주인임이 밝혀진 뒤 왕자와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았다며 끝납니다.
하지만 이 동화에서 신데렐라는 유리구두를 떨어뜨리지만 그 유리구두는 아주 큼지막합니다. 그리고 왕자가 직접 나서서 유리구두의 주인을 찾아 다녀요. 또 신데렐라는 자신이 유리구두의 주인임을 당당하게 밝힙니다. 그리고 두 사람의 결혼이요? 아직 어린 두 사람에게 그런 일은 없어요. 그리고 둘은 친구로 지냅니다. 결혼할 만한 감정도 없고요.
이렇게 결혼의 결말이 사라지면서 신데렐라는 무엇을 하게 될까요? 그녀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지, 앞으로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책에 그 내용이 펼쳐집니다. 궁금하다면 책으로 확인해 주세요.



새로운 동화의 핵심 요소

1. 해방자의 의미
해방자란 다른 사람들이 자유로워지는 길을 찾도록 돕는 사람(39쪽)입니다. 신데렐라가 왕자와 결혼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게 되면서 신데렐라는 해방자가 될 수 있었습니다. 이 해방자를 김지은 아동문학 평론가는 ‘불은 다루는 여성’이라고 보았습니다. 혼자서 일해야 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멋진 사람으로 자라났고, 힘 세고 기운이 넘치며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찾아냈다고 보았습니다.

2. 대모 요정의 마법
대모 요정은 모두가 자유롭고 가장 자기다운 모습이 될 수 있게 돕는 것이 진짜 마법(25쪽)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마법을 사용하여 호박 마차를 이끌었던 쥐들에게 이것을 ‘원하냐고 물어’봅니다. 이게 바로 작가가 의도한 바였습니다. 가장 자기다운 모습이 되려면 내가 그것을 원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누가 강요할 게 아니라 그걸 하고 싶은지 의사를 물어보고 해야하는 것이지요. 상대방의 질문을 받든, 스스로 의문이 들든간에 이를 통해 자신이 바라는 진정한 자기다움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3. 새어머니와 대모 요정
새어머니와 대모 요정은 모두 어른이에요. 동화 속에서 새어머니만큼은 기존의 동화처럼 인물의 성격이 변하지 않아요. 그것은 기성 세대는 여전히 욕심을 갈망하고 이기심을 쥐고 놓으려고 하지 않아요. 그러한 점을 새로운 세대인 신데렐라와 비교하고 있어요. 또한 욕심과 이기심을 놓지 못하고 변하지 않는 이를 새어머니로, 하지만 그것을 깨닫고 변해서 남을 도울 수 있는 자가 되면 대모 요정이 되는 것으로 어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4. 행복이란, 아름다움이란
결국 가장 아름다운 건 외모가 아니지요. 아름다움은 주관적인 기준을 가졌으니까요. 각자 존재 자체로 아름답다는 걸 깨닫는다면 그게 바로 자기다움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걸 하고 사는 게 행복이고요.



이 책은 컬처블룸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지만 솔직한 저의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