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리가 좋아지는 창의 퀴즈 100
이용석 지음 / 키움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정답형 인간이 아닌, 어떤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재를 요즘 기업체에서는 요구한다고 합니다.
창의력이란 남다른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즉 새롭고 유용한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하지요.
교육열이 넘치고 넘쳐나는 우리나라에선 아직, 세계적으로 창의적인
사람에게 주는 노벨상학문분야의 수상자가 한사람도 없는 현실이라고 하니,
지식과 경험 위주의 학교교육만 부각되어 그렇지 않나란 견해가 우세랍니다.
요즘 창의성을 위채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한편, 창의적 체험활동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교과서가 점차 스토리텔링으로로 바뀌는 현상도 이 대목을 잘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놀이를 통한 창의성 기르는 법!! 교과서 속엔 없다? 하지만, 이곳엔 있다!!!
머리가 좋아지는 창의 퀴즈 100!!! 을 만나보자구요~

이 책속엔 탐구심, 집중력, 호기심, 자신감 등의 창의적 성향과
유창성, 융통성, 상상력, 독창성 등의 창의적 기능을 훈련할 수 있는 취즈 활동 100가지가 있습니다.
아직 다 해보진 못했어요~ 시간 날때마다 짬짬히..
"엄마" 요건 어려워요~"라고 하기도 하구요.. 제가 봐도 재밌는 퀴즈가 많네요.
(호기심) 편을 살펴보면요~ 꾸준히 아이의 생각을 끌어낼 수 있는 문제가 나온답니다.

왜! 그럴까!!! 란 질문의 중요성의 대표적인 예를 들어주었어요.
원자시계의 개념을 최초로 발견한 유대인인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는 노벨상을 탔을 때
근 소감을 이렇게 말했다고 해요.
"모든 것이 우리 어머니 덕분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 학교에서 돌아오면 어머니는 늘
'오늘 공부시간에 선생님께 무슨 질문을 했니?'라고 말이죠.
그것이 오늘의 나를 있게 하였습니다.
질문하는 습관, 호기심이 또다른 호기심을 낳을 때!!
아이의 창의력도 클 수 있다는 것 명심하고...
아이들의 호기심을 안테나를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과 더불어
엉뚱한 질문에도 아이의 질문자체를 칭찬할 수 있는 부모가 되보자 다짐해봅니다.

누구나 창의성이 있지만,
아무나 창의성을 발휘하진 않는다고 합니다.
잠재된 창의성을 발하기 위해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이죠~
창의성 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이니 구성과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더해져서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연습이 필요한 창의성!!
재미난 퀴즈를 통해 아이와 많이 생각하고 노력해야겠습니다.
즐겁게 아이의 창의성을 열어줄~ 초등필독서!!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