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사의 서막 - 혁명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Liberte : 프랑스 혁명사 10부작 1
주명철 지음 / 여문책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들 프랑스혁명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한두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프랑스혁명은 인류역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그러나 사실 프랑스혁명이 언제의 일인지, 대체 어떤 과정을 거쳐 발생하였는지 등에 관해 자세히 알고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폭정에 시달리던 민중들이 왕을 단두대에 보내고 권력을 뒤바꾸어 놓았다는 것과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의 그 유명한 발언, “ 빵이 없으면 케익을 먹지……”라는 말의 진실여부에 관해서도 사실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아니면 아예 프랑스혁명이 무엇인지 관심조차 없는 사람도 많은 것이다. 아니 대다수 일 것이다.

중학교 때인가 아니면 고등학교 때인가 세계사시간에 잠시 지나가는 듯 들었었던 역사적 사건인 프랑스혁명.

그나마 문과 이과로 나뉘어져 이과에서는 과목자체가 없었기에 들어보지도 못한 학생도 많았다.

오히려 관심이 있는 사람들만 약간이라도 알거나 그나마 왜곡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저런 여러 경우의 잘못을 시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프랑스혁명의 시작과 끝이 언제인지를 정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고 봐야 하는가?”(서문 중).

프랑스혁명의 시종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은 프랑스혁명의 대표적인 이념이라 할 수 있는 자유와 평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만큼, 그리고 자유와 평등이 과연 실현이 되었는가 아닌가 하는 것에 대한 논의만큼이나 어려운 일일 것이다.

거시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프랑스혁명이 인류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전환을 시작했던 것이고, 전세계의 모든 곳에서 프랑스혁명의 이념이 실현되는 때가 바로 혁명의 완수라고 본다면, 아직도 프랑스혁명은 여전히 미완의 혁명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한정해서 책을 서술해야 하므로 저자는 프랑스혁명의 시작점인 1789년부터 1794 7월말의 테르미도르반동까지를 다루려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를 10부작으로 나누어 세밀하게 프랑스혁명을 서술하려 하는 데, 그 중의 시작으로서 이 책 1권이 나온 것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나누어 제1앙시엥레짐이란 무엇인가, 2부 루이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3부 루이16세 즉위부터 전국신분회의 소집까지, 부록으로 루이16세의 축성식과 대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300쪽으로 편집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실에 대한 서술이 매우 세밀하여 마치 그 당시에 프랑스에 살면서 경험하는 듯한 착각에 빠질 정도이다.

당시에 궁정에서 나누었던 대화라거나 왕이 입었던 옷에 대한 세밀한 묘사라거나 궁정에서 벌어지는 낯뜨거운 사생활에 관한 것까지 매우 세밀하게 서술하고 있다.

또한 책의 사이사이에 등장인물의 초상화, 여러 사건을 묘사한 그림 등등을 편집하여 독자로 하여금 약간은 난해하면서도 지루할 수 있는 책의 내용의 이해를 돕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마치 잘 만들어진 한편의 다큐멘터리를 본 듯했다.

그저 하나의 지식으로서의 프랑스혁명이 아니라 마치 당시의 프랑스를 직접 경험하는 듯한 묘한 느낌이 들었다.

다소 딱딱할 수 밖에 없는 역사적 주제를 가지고 이렇게 자세하고 세밀하게 서술하여, 독자가 흥미진진한 장편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에 약간은 놀랐다.

벌써부터 제2권이 기대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