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은 관계다 - 그래티튜드 경영
이병구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를 경영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수많은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결정해야 하는 어렵고도 어려운 일이다.

더군다나 수 천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는 그 어려움이 더 클 것이다.

회사를 경영하는 이유는 이윤의 극대화라는 일반론에 반기를 들고 사람이 제일 중요한 회사의 자원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 사람이 있다.

바로 이 책의 저자인 주식회사 네패스의 창업자인 이병구회장이다.

25년 전에 홀로 창업을 하고 현재 2천명의 직원을 가진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키우기까지 의 원천을 ‘그래티튜드(Gratitude)'라고 본다. 사전적의미로 ’고마움, 감사하는 마음‘을 뜻하는 그래티튜드가 바로 이 회사를 대표하는 단어이다.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이 회장은 기업의 내부에서 그 동인을 찾아야 한다고 보았고, 가장 중요한 자원은 바로 사람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직원이 행복해야 좋은 제품이 생산될 것이고, 좋은 제품은 고객의 필요에 부응할뿐더러 고객을 행복하게 할 것이고, 이는 매출의 증대로 이어질 것이고 회사가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느 날 제품의 생산부서중 한 곳에서 고액의 장비가 자주 멈추는 일이 발생하였다. 한번 멈출 때마다 회사에는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기계가 자주 멈춘다는 것은 정비의 불량 등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기계를 평소에 잘 관리하고 정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멈추는 빈도가 줄어들 것이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생각을 다르게 해서 성과를 본 회사가 있다.

네패스는 사람에게는 물론이고 물건에게도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직원들이 장비에게 매일 감사하다고 인사를 하고, 장비에 ‘감사합니다’라고 써 붙여 놓게 되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장비가 멈추는 일이 기존의 10분의 1로 줄어든 것이다.

막대한 돈이 절약된 것은 물론이다.

물건인 장비들이 사람의 말을 알아들었을 리 없다.

직원들은 장비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인사를 하게 되니 저절로 장비를 아끼게 되고 깨끗하게 정비하고 돌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불량률이 대폭 감소하게 된 것이다.

또한 직원들 서로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게 하고 감사의 편지를 쓰게 하고 회사 내에 노래를 배우고 부를 수 있게 하는 등 오로지 직원의 행복을 위한 정책을 실행에 옮기게 되자, 참으로 놀랍게도 생산성의 향상과 더불어 매출의 증가, 불량률의 감소 등 매우 긍정적인 변화들이 일어났다고 이 책의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이 책에는 다양한 실제의 사례와 더불어 여러 학자들의 전문적인 견해를 예로 들면서 사람에게는 물로 사물에게 조차 감사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지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며 이해를 구하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다소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서 한편으로는 무슨 사이비종교같은 느낌마저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끝까지 책을 읽다보면 이 책의 전반을 관통하는 기본적인 생각인 ‘감사하는 마음’에 대해 논리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식으로 생각하고 또 이를 실천에 옮겨서 매우 유용한 성과를 이루어 낸 실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수많이 존재하는 모든 기업이 다 이러한 방침을 회사의 정책으로 실행에 옮길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는 받아들여서 한번 시도해봄직도 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는 이 책의 주장은 참으로 신선한 것이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