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증인 - 상 대한민국 스토리DNA 7
김성종 지음 / 새움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후의 증인 上]을 읽고…….

 

 

1970년대 초반.

한국전쟁이 끝난 지 20여년.

어느 무기수가 석방되어 감옥을 나서는 장면으로 이 소설은 시작된다.

그의 이름은 “황 바우”.

그 후 1년 5개월 동안 두 명의 살인사건이 발생한다.

번잡한 세상살이가 싫어서 남들은 다 싫어서 떠나려고만 하는 오지로 발령을 받아 유유자적하게 살기를 바라는 오 형사에게 임무가 주어진다.

살인사건의 전모를 알아내라는 서장의 부탁 같은 명령.

이에 오 형사는 혼자서 비밀임무를 수행하듯 수사에 전력을 다하게 된다.

수사 과정에서 하나 둘씩 밝혀지는 과거의 관련인물들과 그들의 행적.

그리하여 이야기는 어느덧 한국전쟁 당시의 지리산 빨치산과 토벌군. 그리고 청년단 등으로 확대되어 간다.

 

이것이 이 소설 상편의 대강의 줄거리이다.

 

1970년대 초반은 박정희 정권의 서슬 퍼런 압제의 시대였다.

당시에 이 소설이 한국일보의 창간 20주년 모집 장편소설의 당선작이었고, 이번에 40여년 만에 다시 발행을 하였다고 한다.

그 당시 엄혹했던 시기에 이 정도의 내용으로 소설을 썼다는 것 만해도 어느 정도 평가를 해도 좋다는 생각이 든다.

당시로서는 빨치산이라는 주제는 누구라도 쉽게 다루기 힘든 주제가 아니었나 싶다.

물론 빨치산의 일부로써 활동하던 작중의 인물이 자신의 활동에 부끄러움을 느끼고 회한과 반성을 한다는 고백과 빨치산으로 활동하던 자들의 후안무치한 비인간적 행위들을 열거함으로써 70년대의 냉혹한 세상의 시선을 피할 수 있었으리라 짐작해본다.

 

 

오 형사의 수사는 진척이 되어 드디어 양달수의 첩 손 지혜와 술집에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에서 끝이 난다.

별로 흥미롭지 못해 보이는 주제인 살인.

그 살인사건을 둘러싼 과거의 사건들의 재조명.

그러나 차츰차츰 드러나는 여러 인물들의 거짓과 진실.

이상하게도 느릿느릿하게 빠져만 들어가는 늪처럼 이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못내 하편을 궁금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