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사람들처럼 -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에게서 찾은 행복의 열 가지 원리
말레네 뤼달 지음, 강현주 옮김 / 마일스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덴마크 사람들처럼]을 읽고…….

 

이 책은 원제목이 [덴마크 사람처럼 행복하게]였다고 한다. 즉, 이 책의 주제는 [행복]이다.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에 관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덴마크의 여러 가지 사례와 통계자료를 가지고 유럽의 나라들뿐만 아니라 주요한 여러 나라와 비교하면서 덴마크사람들이 왜 더 행복한지 설명하고 있다.

 

덴마크의 복지가 지구상에서 가장 훌륭하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덴마크 사람들은 매우 정직하고, 서로를 신뢰하며, 부패가 없고. 공정하고, 행복하다는 식의 이야기는 어느 정도 과장되어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대체 완벽한 인간이 어디에 있단 말인가?

하지만 보편적 복지에 매우 취약한 한국의 현실을 반추해 볼 때, 덴마크의 복지에 관한 각종 자료와 통계 그리고 약간은 주관적인 편향이 가미되어 있는 작가의 [덴마크 자랑질]은

매우 부러운 것이 아닐 수 없었다.

 

소득세 60%를 내는 나라.

대학생들에게 무상으로 교육을 할 뿐만 아니라 매달 장학금을 지급하는 나라.

농부들이 무인가판대를 설치해놓고 나중에 가보면 물건 값이 고스란히 놓여있는 신뢰의 나라.

돈이 든 지갑을 여기저기 놓아두어도 하나도 빠짐없이 돌아오는 신기한 나라.

국민들이 돈보다는 행복을 추구하고, 겸손을 미덕으로 여기는 나라.

양성평등을 단지 슬로건으로만 머물게 하지 않고 작게는 가정에서부터 크게는 국가의 정책까지 실천하는 나라.

그러나 덴마크는 가난한 사람이나 부유한 사람이나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우울증치료약과 술로 불행을 견뎌보려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는 것도 밝히고 있다.

 

인간이 추구하는 지상최대의 과제인 행복.

어떻게 하면 행복이라는 파랑새를 찾을 수 있을 지에 관해 하나의 길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하겠다.

[덴마크]가 행복의 완벽한 모델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타산지석은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