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도 없는 한밤에 밀리언셀러 클럽 142
스티븐 킹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로알드 달 책 중 가장 좋아하는 책이 'Someone like you(당신을 닮은 사람)'라는 단편집인데, 앞에서 말한 '남쪽에서 온 사나이', 그리고 로알드 달의 단편의 진가를 처음 깨닫게 해 준 '맛있는 흉기' 등이 들어있는 단편집이다. 동명의 소설이 있거나 하지는 않지만, '이 중에 당신의 모습이 하나라도 있을 지도 몰라'라는 의미에서 이렇게 제목을 붙였다고 했다. 그리고 이 제목과 이 책은 읽는 내내-특히 4번째 작품에서는 아주 강하게- 마음 한 구석에 그림자를 내리고 있었다.


4개의 중편으로 이루어진, 이 책에서 스티븐 킹이 내내 나에게 말을 거는 기분이었다. '별도 없는, 어둠으로 가득찬 곳에서 당신은 어떻게 앞으로 걸어나갈까?' 그리고, 4가지의 공포스러운, 하지만 현실에서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상황을 보여주고, 그 안에서 '이 사람은 이렇게 하던데...'라면서 주인공이 끝없이 절망하고, 당황하고, 힘내서 이겨내려고 하고, 좌절하고, 실망하고, 두려워한다. 물론, 여기까지만 나온다면 이건 막장 아침드라마같은 느낌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에 그 어둠의 공포 안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목소리, 환청과 환영(혹은 초자연적 존재)에 질리고, 이로 인해 어떤 연쇄적 악운을 만들고 어떻게 인간이 끊임없이 실수를 할 수 있는 지를 차분히 보여준다. 자극적인 이야기에 어쩌면 유치할 수도 있는 초자연적인 존재의 조합이지만, 이것을 어색하지 않고 근사하게 풀어내는 것은 스티븐 킹 최대의 특기 아니던가.


안에 들어있는 4개의 소설이 딱히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등장인물, 지역, 시대, 사건 모두 겹치는 점이 없다.'1922'는 땅을 팔고 이사가자는 부인을 죽인 후 서로가 씹고 뜯는(?) 이야기고, '빅 드라이버'는 강간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복수하는 내용이며, '공정한 거래'는 살면서 내내 단짝친구에게 열등감을 느끼던 사람의 인생극장이며, '행복한 결혼생활'은 남편의 부정을 알게 된 부인에 대한 이야기-중후반에서 '맛있는 흉기'가 강력하게 떠오르는 것은 기분 탓일 것이다-다. 하지만 따져보면, 일종의 '한' 서린 사람들의 이야기고,'바로 옆에 있는 사람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런데 말이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 '약간의 한'과 '한 길 사람 속은 알지 못하'면서 살고 있지 않은가. 자, 여기서 그렇다면 우리에게도 이런 '별도 없는 짙은 어둠'이 다가왔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할까? 나는? 나도 주인공처럼 하지 않을까, 아니, 이 경우에는 아마도 이렇게 하지 않을까, 하지만 나에게는 이런 사람이 오지 않겠지. 대신에.... 라면서 각자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다보면, 등장인물 중 한 명, 혹은 여러 명의 일부가 상상속의 어두운 자신의 모습에 은근히 오버랩되는 것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여기서 '당신을 닮은 사람'이 보이는 것이 조금 이상할 지도 모르지만, 괜찮다. 어차피 '별도 없는 한밤'이라 아무도 볼 수 없으니까.


그래서, 이 소설은 오랜만에 '성장과 성찰'에서 한 발짝 더 물러나서 보다 짙은 어둠에서 신나게 씹고 뜯고 피냄새를 맡으며 즐기는 신나는 스티븐 킹님의 소설이다. 귀신들린 자동차를 타고 달리는 듯 긴장감과 속도감에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신나게 읽어내려가다 보면, 문득문득 자신과 주변의 모습이 창가에 비쳤다가 사라지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에 대해 심각하게 돌아보기에는 이 곳은 별 하나 없는 깊은 어둠이니, 그런 나타났다 사라지는 모습을 뒤로 한 채 달리는 것도 신선하면서 즐거운 일이다. 밤공기는 맑고 차갑고, 어차피 누구나 다 항상 밝고 착한 모습만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