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오프 밀리언셀러 클럽 139
데이비드 발다치 엮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어떤 이야기와 그 이야기의 등장인물을 좋아하게 되면, 언젠가는 그 등장인물이 다른 세계관의 이야기에서 활약하는 것도 괜시리 궁금해지기 마련이다. 그런 연유로 무수한 콜라보레이션 팬픽과 리메이크가 난무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래봐야 이런 이야기들은 그저 2차 창작일 뿐이다. 실제로 콜라보레이션을 하려면 해당 작품과 관련된 모든 작가 및 출판사/에이전시와의 저작권 및 계약 문제도 걸려있고, 작가들이 자신의 세계관과 자신의 캐릭터를 다른 것과 섞어서 펼치기를 기대하기도 쉽지 않다. '아르센 뤼팽 대 셜록 홈즈' 소설만 보더라도 코난 도일이 홈즈를 사용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결국 르블랑은 헐록 숌즈 라는 애매한 이름을 사용하게 된다. (물론 이 작품 자체도 굉장히 별로라고 생각하지만 이건 개인 취향도 반영되어 있으니 넘어가도록 한다)


그런데, 데니스 루헤인, 마이클 코넬리 같은 전무후무한 영미권 최고 스릴러작가들이 자신들의 대표 시리즈 주인공 합작 단편을 내놓았다면 어떨까. 그것도 무려 22명의 캐릭터가 등장하는 11개의 단편을 내놓은 것이다. 하나의 단편에 각각의 캐릭터를 넣어서, 두 명의 걸출한 캐릭터가 활약하는 단편. 그것도 모든 단편을 각 두 작가가 합심해서 쓴 것이니 이건 말 그대로 '공식 콜라보레이션'인 것이다. 영미권 스릴러 팬이라면, 이 책은 말 그대로 일종의 환타지일 것이다. 


그런데 그 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ITW(국제 스릴러 작가 협회)에서 기획해서, 작가들이 합작해서 단편 소설을 쓰고 이를 기부해서, 협회에서 수익을 얻는 형태로 이를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다시는 만들어지기 어려운 유명 작가들이 직접 참여한 스릴러 콜라보레이션 단편집이 탄생했다.


사실 읽기 전에는 (스릴러를 많이 읽은 편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익숙한 이름의 유명 작가들이 잔뜩 참여한 것을 보고 감탄하기도 했지만, 작가들 및 캐릭터들이 워낙 개성이 강한 지라 이 사람들의 개성이 짧은 단편에, 다른 개성 강한 캐릭터들을 만났을 때 충분히 살아날 것인지, 혹은 캐릭터들끼리 충돌해서 이야기에 조화롭게 녹아나지 못할 수도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는 기우였다. 물론 짧은 이야기에서 충분히 자신의 매력을 발휘하지 못한 캐릭터들도 일부 있기는 하지만-이는 기존에 몰랐던 캐릭터들의 경우 더 한 감이 없잖아 있었다- '좀 더 알고 싶다' 라고 느껴지는 캐릭터들도 충분히 있었고, 기존에 알고 있던 캐릭터의 경우 이만한 팬서비스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게다가 전반적으로 각각의 이야기가 깔끔하게 잘 짜여 있어서, 스타일이 꽤 다른 작가 둘이 같이 썼다고 생각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냥 한 작가가 다른 작가의 팬이어서, 그 작가의 캐릭터를 직접 사용해서 한 사람이 소설을 쭉 썼다고 해도 믿을 것 같다는 기분이었다. 이는 각 작가 듀오들이 각자 스타일에 맞는 협업을 해서 가능했던 것인데, 이에 대해서 간단히 기록되어 있는 작품 별 서문은 서비스다. 

그리고 덕분에 작가들의 콜라보레이션이라는 가장 큰 개성을 빼놓고 생각해도, 이 책은 꽤나 괜찮은 스릴러 단편집이다. 다양한 범죄, 미스테리, 호러, 법정 스릴러들이 한 책 안에 모여있는데 각각의 이야기도 깔끔하고 흥미진진해서, 여러 취향의 독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 같다. 


초심자에게는 유명한 캐릭터와 이야기의 입문용으로, 스릴러 팬에게는 전무후무한 팬서비스로, 어느 쪽으로든 꽤나 만족스러운 단편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