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까지 연기하라
로버트 고다드 지음, 김송현정 옮김 / 검은숲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국내에 처음 번역된 '로버트 고다드'라는 작가를 처음 접한 것은 스티븐 킹 님의 인터뷰에서였다. 매년 그 해의 좋은 작품을 뽑는 스티븐 킹은 2008년에 1위로 '로버트 고다드의 모든 작품'을 뽑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 소설들에는 마카로니 한 상자보다 더 비비 꼬인 반전이 들어있고, 모두들 로버트 고다드의 명료한 산문으로 잘 표현된다. 독자는 매우 수준 높은 솜씨로 소설을 만들어내는 작가를 발견하게 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불안한 생각이 떠오를 것이다. "내가 여지껏 미처 발견하지 못한 좋은 작가들이 아직도 많을 테지?"
...아니 이렇게까지 말하는데 어떻게 안 읽냐고요.
그리고 마침 이번에 국내에 이 분의 소설이 출간되게 되어서, 열심히 기다리고 있다가 나오자마자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냥 편하게 시작한다. 왕년에 잘 나가던 영화배우지만 지금은 그냥 그런 연극 순회공연을 전전하고 있고 부인과도 (자신은 여전히 마음이 있지만) 이혼 위기이고 부인에게는 돈 많은 사업가 남자친구도 있다. 그러다 그냥 부인이 주변에 이상한 남자가 돌아다니는데 혹시 아는 사람인지 확인해달라고 부탁해서 그냥 그 남자를 쫓으러 간다. 그 뿐이었는데 이런 소설이 다 그렇듯이 일은 눈덩이가 언덕 밑으로 굴러가면서 불어나듯 커지고, 속도도 붙고, 그만큼 무거워지면서 통통통 튀어간다.
 
오랜만에 읽는, 현재 시점의, 다른 장르 섞이지 않은 깔끔한 미스터리물이었다. 최근 현대 미스테리물은 대부분 범죄 스릴러 위주라든가, 연애가 과하게 끼어든다든가, 아니면 아예 판타지로 가든가, 혹은 재미가 없든가 해서 잘 손이 안 갔는데, 오랜만에 읽으니 꽤 상쾌했다. 그리고 이 작가의 특징이라지만, 현대물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다른 현대 스릴러/미스테리물처럼 거칠은 느낌이 전혀 없이 깔끔하고 매끄러운 문장들이어서 좋았다. (물론 이것은 번역이 꽤 잘 된 것도 한 몫 한다. 'dyeing'에서 'e'를 지워서 'dying'이 된 것을 '염색'에서 '색'을 지워서 '염'이 된 것으로 표현했다든가.) 게다가 정말 머리를 비우고 읽어서 그런가. 그냥 지나갔던 모든 것이 뒤에서 복선이었다, 혹은 반전이었다 등등으로 나타나는데, 아주 중요한 것들은 아니지만 이 깨알같음에 몇 번이고 즐거워해 주었다. 사실 마지막 하루는 없어도 되는데 왜 있을까 하고 읽다가 그 촘촘함에 꽤 즐거웠다.

정말, 적당히 편안한(?) 사건을 흥미진진하면서 깔끔하고 매끈하게, 그러면서도 촘촘하게 풀어나가는 근사한 소설이었다. 어렵거나 복잡하거나 머리아프거나 지루하거나 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과하게 자극적이거나 거칠거나 하지도 않다. 그러면서 흡입력도 있고 속도감도 있는, 재미있는 소설이다. 덕분에 읽는 동안도 시간이 잘 가고 읽고 나서도 불쾌하거나 답답하지 않고 즐겁다. 말 그대로 소설이 가져야 할 덕목들을 잘 챙기고 있는 좋은 이야기이다. 스티븐 킹님께서 왜 저렇게 말했는지 충분히 이해가 가고, 앞으로 다른 책들이 출간되기를 기다리게 되는 작가 리스트에 고다드씨도 추가하기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