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인간의 신부 네오픽션 로맨스클럽 1
이영수 지음 / 네오픽션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늑대 인간이나 뱀파이어 등을 소재로 한 책이나 영화 등은 참 많다.

 

"우리 인간보다 강하고 뛰어난 외모를 가졌지만 보름달이 뜨면 늑대로 변한다" 정도의 생각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늑대인간과 인간의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이나 운명같은 만남 등을 소재로 삼아 여운을 남기거나 환상을 갖게 만든다.

 

<늑대 인간의 신부>는 자신의 후계자를 만들어야 하는 시랑이 지리산 자락에서 자살하려던 연서의 목을 물고 자신의 송곳니를 꽂아주면서 시작된다.

 

 백혈병에 걸려 죽을 날만 기다리던 연서는, 자신이 가족들에게 재정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너무나도 많은 폐를 끼치고있다는 생각에 자살하기로 마음먹고 지리산 어느 높은 폭포에서 뛰어내렸고, 같은시각 후계자로 만들 예정이었던 남자와 그 폭포에서 약속이 있던 시랑이 연서를 그 남자로 착각하고 후계자로 삼아버린 것이다.

 

  여자 늑대인간이 되어버린 연서에게는 아주 큰 문제가 있었는데, 여자 늑대인간의 경우 후계자로 삼을 수는 없고 반려자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려자가 될 경우에 1년 안에 후계자를 가지지 못하면, 즉 임신을 하지 못하면 죽게되고, 임신을 하더라도 여자늑대인간은 순수 혈통이 아니고( 시랑이 물어서 늑대인간이 되었으므로) 늑대인간가 늑대인간 사이에서 태어날 아이는 순수 혈통이므로 여자 늑대인간은 아이의 힘을 이길 수 없어 진통을 하다가 죽게 되는 것이다. -아이는 여자의 배를 갈라 꺼내게 된다

 

늑대인간으로 변태하게 되는 방인 <고통받는 방>에서 소리 한번 지르지 않고 고통을 삼키던 연서를 보는 시랑은 어떤 감정을 느끼게 되지만... 자신의 고민은 모르고 건강한 몸을 가지게 되었다며 온 마을을 뛰어다니는 천방지축 연서를 보고는 차가운 태도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점차 사랑에 빠지게 된 두 사람.

 

연서는 시랑의 아이를 가지고싶어하지만 시랑은 연서를 잃고싶지 않아 아이를 가지는 것을 반대하고,

보름달이 떠도 자학을 하다 죽지 않는 방법을 찾아 연서를 데리고 도망칠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시랑이 모르게 아이를 가지게 된 연서는 시랑과 늑대일족에게서 도망치고. 겨우겨우 연서를 찾은 시랑은 아이를 낳기로 결정했다.

 

여기서 반전이 생기는데, 초반부터 계속 읊어대던 "힘은 다른 힘으로 채워지고, 더 강한 힘을 불러올 것이다"라는 문장이 이 상황을 해결하는 키워드였고, 가장 가까이 있던 민수가 마지막까지 반전을 만들어내며 긴장감 넘치는 상황을 만들어준다.  

 

 서로 다른 종족간의 사랑이기에 비극적인 결말이 예상될 수 밖에 없던 소설이었고, 후반부에 이르기까지 그 운명을 바꿀 어떠한 단서도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에 긴장을 놓지 못하는 소설이었다. 하지만 소설 초반부에서부터 나온 인물과 복선, 단서들이 후반부에 가서는 해결책이 되어주는 것에 놀랐고, 재미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은 아주 잘 쓰여진 소설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