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에 시가 없다면 너무 외롭지 않을까요 - 흔들리는 인생을 감싸줄 일흔일곱 번의 명시 수업
장석주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어릴 때부터 시를 좋아했다.
초등학생 때 문예반 활동을 하며 시를 써보기도 하고, 마음에 드는 시를 적어놓고 암송하기도 했다.
세월이 지나 나이를 먹어가면서 시를 더 깊이 잘 느낄 수 있다는 생각도 들지만, 어쩐지 사느라 바빠 시집을 읽으며 시를 음미하는 경험은 거의 없어져가고 있다.
이 책의 제목에서 '삶에 시가 없다면'이란 구절이 먼저 눈에 들었다.
시가 없으면 어떻게 삶을 노래할 수 있겠는가?
틈틈이 하루에 대여섯 편씩 책에 실린 시를 읽고, 저자의 시에 대한 감상 이야기를 같이 읽으면서 참으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그 동안 어찌 시를 드문드문 보면서 살았는지, 내가 왜그리 살았나 싶은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다.
시는 가슴을 간질거리게도 하고, 찌르르 울리게도 하고, 뜨겁게 달아오르게도 한다.
입을 열어 시를 소리내어 낭송하면 노래처럼 내몸에서 맴돌아 퍼진다.
이 책에서 소개된 시들 중에 우리나라의 시들은 거의 잘 아는 시들이었지만, 외국 시들은 처음 만난 작품이 많았다. 사실 외국 시인이나 작품은 잘 몰랐는데, 이번에 좋은 시인들을 많이 만나게 되어 기쁘다.
한편, 시를 번역으로 읽을 때마다 원어로 읽을 수 없음이 참 아쉽다. 시를 읽기 위해서라도 외국어 공부를 하고싶은 마음이 든다.
저자가 선별한 77편의 시들이 정말 아름답고, 이 시들에 대한 저자의 단상도 또다른 시편 같은 글이라 몇 번씩 되풀이하여 음미하게 된다.
그 중 몇 문장을 옮겨 본다.
🎵👩🎤
그리움이란 지금 여기에 없는 것을 마음으로 끌어당겨 그윽하게 응시하는 것이다.
🎵👩🎤
파블로 네루다는 물음 자체가 시임을 증명한다. 시는 물음에서 시작해서 물음으로 끝나는 것! 물음은 시의 첫 징조요, 첫걸음이고, 곧 피어날 꽃봉오리다.
🎵👩🎤
우리의 존재함은 돌이킬 수 없는 일회성으로만 견고하다. 우리 존재가 숭고하고 애틋하면서도 아름다운 것은 그것이 일회성으로 휘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멕시코 시인 옥타비오 파스에 의하면 "시는 실재에 대한 배고픔"이다. 왜 아니겠는가? 시인은 항상 세계의 가난을 산다.
#삶에시가없다면너무외롭지않을까요
#장석주 #시추천 #문장모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