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롤리타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5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월
평점 :
롤. 리. 타.
'혀끝이 입천장을 따라 세 걸음째에 앞니를 가볍게 건드리는 그 이름'
롤. 리. 타.
드디어 롤리타를 다 읽었다. 500페이지가 넘어가는 적지않은 분량.
나보코프의 현란하다 못해 머리가 아찔할 정도의 언어유희.
마치 바람과 눈이 세차게 때리는 가파르고 험준한 산맥을 따라 걷고 있는듯 한 기분 이었다.
소아성애라는 파격적인 소재
소아성애욕망 이라는 소재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하나도 저속하지 않았다.
오히려 험버트라는 인간의 지칠줄 모르는 롤리타에 대한 욕망과 지극하다 못해 숭고하기까지 한 사랑이 아름답고도 슬펐다.
아무래도 나보코프의 아름다운 문체 덕분이리라.
또한, 흔한 연인관계 였다면 도저히 나올 수 없는 퇴폐적이고도 독특한 분위기와
재치넘치는 나보코프의 위트는 정말 기발했다.
험버트라는 유령의 출몰
사회적으로 용납 할 수 없는 욕망의 울타리에서 어찌 할 줄 모르는 주인공.
그는 자신의 금기된 욕망을 결혼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억제하려고 하지만 곧 실패하고 만다.
결국 그 자신의 끈덕진 욕망의 추구는 이 소설 전체를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이 된다.
나보코프의 말처럼 이 책에서 교훈을 찾는 일은 부질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롤리타를 읽다보면 어떤 감정의 선과 마주하게 되는데 이것을 정확히 표현하지는 못하겠다.
커피로 치자면 아메리카노 처럼 씁쓸한 뒷맛이 여운을 남기는데 쉽게 가라앉지가 않는다.
나보코프의 아름답고 복잡한 문장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이어지는데 그 끝은 보이지 않고
계속해서 앞으로 흘러간다. 영원히 끝나지 않을 꿈처럼...
하긴 욕망이란 것에 과연 끝이 있을까? 그것은 죽어도 계속 유령처럼 떠도는 것이 아닐까?
비록 주인공의 욕망이 사회가 용인하지 않는 것이긴 하지만, 사실 어느 누구에게든 그 정도는 아닐지라도 쉽게 드러 낼 수 없는 욕망이 옅은 회색의 연기처럼 떠다니고 있지 않을까?
이름하여 험버트라는 유령이 배회하고 있다.
롤리타, 그리고 프로이트
이 소설에서는 프로이트 학파에 관련해서 저자인 나보코프의 조롱(?)에 가까운 견해들이 많다.
사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소아성애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데, 아마 저자인 나보코프는 프로이트 학파의 환원주의에 많은 회의를 갖고 있던 것 같다.
아무튼, 소아성애든 변태성욕이든, 이러한 것들은 인간의 자연적이며 동물적인 현상의 발현이 아닌가? 그러한 것을 무조건 미쳤다고 낙인 찍을 권한이 누구에게 있단 말인가?
단지 사회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그러한것에 X표시를 하고 주홍글자를 찍었을뿐이다.
아, 갑자기 미셸푸코가 떠오른다.
아무튼 극악무도한 성범죄를 옹호하는건 절대 아니니 오해 마시길...
욕망의 대상, 롤리타
롤리타는 험버트의 욕망의 대상인데 그녀에 대한 그의 욕망의 추구는 지극히 바보처럼 순수하다. 맹목적이고 한결같은 욕망의 회오리는 그를 휘감고 차츰 파멸의 중심으로 그를 끌어 당긴다.
이 소설의 후반부로 넘어 갈수록 험버트의 심리묘사가 굉장히 복잡해지고 난해하게 변하는데, 자신이 광기에 휩싸여 갈때도 그는 더욱더 끈질기고 집요해진다. 한마디로 양보라는 것을 모른다.
직선적인 시간의 흐름은 이내 단절되고 정신착란에 가까운 서술과 의식의 자유로운 흐름이 책 페이지를 넘쳐흐르고 발광하며 뛰쳐 다닌다. 대체 이 남자의 어리석고 순수한 욕망을 누가 막을 것이란 말인가....
롤리타에서 얻을 수 있는 것?
어쨌든 롤리타는 한마디로 정의 할 수 없는 소설에 가깝다.
그렇다면 이 소설에서 무엇을 얻어 갈 것인가?
그래도 현명한 독자들이라면 독서하는 내내 그 무언가는 느꼈을 거라고 짐작된다.
그것이 기쁨이든, 교훈이든, 슬픔이든, 허무이든, 아무것도 아니든.
아무래도 좋은것이 아닐까?...
어쨌든 롤리타를 읽거나 읽지 않거나 둘 중에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