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아직 희망이 있는가? - 100년 후에도 희망이 되는 기독교를 위하여
김형석 지음 / 두란노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 (아직) 희망이 있는가?]- 김형석

 

1920 출생인 저자가 바라본

2020 현재의 한국 기독교.

그리고 내다본 2120.

 

우리 기독교가 100년 뒤에도 희망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책은 책 제목처럼 기독교의 희망을 다룬다.

1920년생으로 2020년을 맞이하게 된 저자에게는 100이란 숫자가 남다를거라 생각된다.

그래서일까 이 책은 지금을 기준으로 100년 전() 그리고 100년 후()의 시간을 통과하며 기독교에 대해 고찰한다.

 

100년 전에는 우리나라에서 기독교인들이 정신적으로 상위권을 차지했다고 한다.

선각자의 역할을 담당했고 모범을 보여줘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100년이 지난 지금은 중위권 정도로 떨어진 느낌을 받으며

이런 현상이 계속된다면 100년 뒤 기독교인의 사회적 위상은 하위권으로 추락할지도 모른다라 저자는 우려했다. 이런 우려 속에서 100년 뒤에도 기독교가 희망이 되려면 바로 지금, 어떻게 해야할까란 고민을 안고 시작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사랑 애()

 

저자의 다른 책인 <그리스도인에게 왜 인문학이 필요한가?>를 읽은 적이 있다.

저자가 역사의 산 증인이자 지식인으로서 100년이란 세월을 보냈음이 절실하게 느껴지는 책이었는데 그 책과 더불어 이 책을 통해 저자가 긴 세월을 보내며 기독교의 진리라 붙잡는 것은 바로 사랑이 아닐까란 생각이 든다.

 

p 33

크리스천은 누구보다도 민족과 국가를 사랑하는 마음, 애국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폐쇄적인 민족주의나 국수주의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스도의 뜻을 따라서 민족과 국가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저자에게는 특별히 ()국심과 인간애()가 강조된다.

또한 저자는 교회 울타리 안에 갇힌 크리스천이 아닌

사회에서 책임을 다하는 크리스천의 모습이 중시된다.

 

그렇기에 폐쇄적이고 국소적이고 제한적인 것들이 아닌

한계를 초월한 기독교의 진리에 대해 논한다.

그리고 그 앎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책에는 다양한 저자의 경험담과 지인들의 이야기가 곳곳에 등장하는데

그 내용들이 참 인상적이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들려주니

저자의 고민 끝에 내려진 희망들이 더욱 생생하게 다가온다.

강단이 느껴지는 저자를 따라 진정한 기독교란, 크리스천이란 어떤 삶인가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레 진지하게 나 자신에 대해 성찰하게 된다.

 

고민없이 그저 이말따라 저말따라 살아오지 않았나란 반성과 더불어 지금의 나와 과거의 나 그리고 미래의 나에 대해 성찰하게 된다.

 

진리를 참되게 알고 또 그 진리를 어떻게 삶으로 살아낼지에 대해

진지하게 계속해서 더욱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또한 어떻게 살아야할지 그리고 나만의 기독교가 아닌

공동체로서의 기독교에 대해 또한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함께 하는 일원들과 나눈다면

저자가 말한 기독교의 희망을 위해 나 또한 일조하는게 아닐까?

 

100년 후 저자가 그린 기독교의 모습을 나도 또한 기도하고 기대한다.

100년 후 모든 크리스천이 존경과 흠모의 대상이 되길,

그렇게 그리스도를 주라 고백하는 자들로

주님께 그리고 세상에서 인정받게 되길..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길..

 

p 223

우리에게 허락된 것은 수단과 방법이 아닌 사랑의 지혜이다.

하늘나라는 인간적인 수단과 방법으로는 건설되지 않는다.

100년이 지나도 희망을 주는 기독교가 되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사랑을 그대로 체화하여 실천하는 길밖에 없다.

 

who’s NEXT?

크리스천으로서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담당해야하는지

빛과 소금의 역할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