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근 교수의 수학 오디세이 1 - 이집트 이스라엘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 편 이만근 교수의 수학 오디세이 1
이만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게는 굉장히 신선한 느낌의 책이다. 대개 여행과 관련된 책이라면 여행지 방문을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여행서적을 떠올릴 것이다. 아니면 음식이나 음악, 아니면 인물, 혹은 특정 아이템을 화두로 해서 떠나는 테마여행서적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이 책은 특이하게도 학문 자체의 자취를 따라나선 여행서적이다. 그것도 사회나 과학이 아니라 수학을 말이다. 일단 목차만 살펴봐도 흥미를 돋우는 책이란 것을 한번에 알 수 있다.

 

인류의 문명을 바꾼 수학자의 고향에서 만난 문화 역사 이야기. 이 책은 단순한 수학여행이 아니다. 수학의 역사를 찾아 떠난 곳에서 한 번쯤 보고 싶었던 유명 건축물을 만날 수 있고 나라별 현지인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 역사책 속 어딘가에서 만났던 유명한 수학자들의 고향을 찾아간다. 책을 읽는 동안 우리는 세계 여행을 하는 동시에 수학적인 상식까지 얻을 수 있다.

 

 총 6개의 나라를 다루고 있다.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볼드체처리하였다. 개인적으로 시작부터 흥미로웠다. 나는 여자인데 과거 생물학적 지식이 부족한 시기에 여성이 월경을 때에 맞춰서 한다는 것을 파악하여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는 것이 신기했다. 수학적 최초 기록은'르봄보 뼈'로 뼈에 29개의 눈금이 새겨져 있다 한다.

 

프롤로그

제1부 이집트
고대 이집트의 ‘수와 기하학’ 
유클리드 
여행기 01 수학의 시작: 수학 최초의 기록은 여성의 생리주기 
여행기 02 숫자를 모르면 죽어서도 저승에 갈 수 없다: 죽음의 책 
여행기 03 우리나라에서도 사용한 태양력: 24절기
여행기 04 아라비아숫자를 사용하지 않는 아라비아 
여행기 05 세계 최초의 도서관이 있던 흔적, 알렉산드리아 
여행기 06 현기증 나도록 완벽한 수학책, 유클리드의 『원론』
여행기 07 비극적인 죽음을 맞은 클레오파트라와 히파티아 

제2부 이스라엘
여행기 01 예수의 생일은 0000년 12월 25일?
여행기 02 예수가 부활할 수학적 확률을 계산한 사람들 

제3부 터키
여행기 01 왜! 직각은 100도, 1시간은 100분이 아닌가?:
바빌로니아 문명의 흔적
여행기 02 지워져 있던 양피지 Ms. 355의 비밀
여행기 03 한국 나이와 미국 나이: 0이 없는 문화 

제4부 그리스
피타고라스
플라톤 
여행기 01 조직의 비밀을 지키기 위한 살인: 피타고라스학파
여행기 02 2,000년 만에 해결된 문제들: 기하학의 세 문제
여행기 03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학자: 아테네 학당의 철학과 우주관 

제5부 이탈리아
아르키메데스는 ‘미적분의 아버지’
여행기 01 아킬레스와 거북의 경주: 세상에 움직이는 것은 없다
여행기 02 같은 시대를 살다간 인류의 스승: 피타고라스, 부처, 공자 
여행기 03 아르키메데스의 거울, 최영의 연은 전쟁무기 
여행기 04 플루타르코스가 기록한 아르키메데스의 무덤을 찾아가다 
여행기 05 바티칸 시티에 얽힌 두 가지 원 이야기: 
모든 아름다운 디자인은 원에서 나온다
여행기 06 수학자보다 앞선 화가들의 기하학: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원근법과 황금비 
여행기 07 인간과 인간, 인간과 컴퓨터의 대결: 수학에서 경쟁
여행기 08 신의 수학적 창조물은 피보나치수열 

제6부 스페인
여행기 01 파밀리아 성당의 마방진과 수학
여행기 02 살바도르 달리의 십자가에서 배우는 4차원 기하학
여행기 03 신비한 수학자 페렐만, 신비주의 수학 카발리즘
악마의 숫자 666의 수학적 해석법 

 

 카이로에 이집트 혁명으로 불안한 시기임에도 수학의 시작을 찾고자한 지은이의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더군다나 책에 따르면 동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개미나 쥐 같은 인간에 비해 하등동물이라 여겨지는 것들도 숫자를 셀 수 있는 능력이 있다니 놀랍다. 책의 서두는 최초의 십진법이나 수학책, 수학자, 숫자 로 시작되는데 아메스는 이집트인으로 최초의 수학자였다. 


 그의 기록에는 수학이 신의 비밀을 엿볼 수 있는 창이라 서술하였고 분수와 수열 넓이 및 부피를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피타고라스 학파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피타고라스와, 부처, 공자가 동시대를 살다간 인물이란 점은 전혀 모르고 있던 사실로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특히 부처에게 가장 작은 알갱이에 대해 묻자 엄지손가락 한 마디 뼈를 7로 열 번 나눈 크기라 했고 그것이 지금의 탄소원자 크기라 하니 놀랍지 않은가.


 다빈치 코드를 읽고 프리메이슨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피타고라스 학파와 연개되어 서술된 부분이 재밌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수학자들이 숫자가 진리를 보는 눈이 되어준다고 믿어서 많은 수학자들이 철학자이기도 했다는 점과 우주관에 영향을 미쳐 종교에도 닿아있었고 건축과 음악, 그리고 미술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은 부분이 없어서 그 광범위함에 새삼 놀랐다.


 사실 그러고 보면 대단한 수식이 아니어도 미신에 근거해서 사람의 성명의 획수를 제시된 방법으로 상대방과 조합하여 더하고 빼는 것을 통해 재미삼아 궁합을 보기도하고 운수를 점치기도 하는 모습이 지금도 있는데 고대의 수학자들도 군더더기 없이 솔직한 숫자에 기대서 우연을 필연으로 삼거나 큰 의미를 부여했을리라 생각하니 묘한 감정에 사로잡히는 것 같다.


 많은 학생들이 교과과정 속에서 수학 자체를 왜 배워야만 하는지 복잡한 수식을 이해해서 무엇에 쓸 일도 없이 왜 익히는 것인지 회의감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점에서 책을 통해 숫자가 아닌 수학과 친해질 기회를 가질 수 있으니 이 책이 그러한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페이지마다 여정에서 생긴 에피소드도 담고 있으므로 지루하지 않게 즐거운 수학을 만날 수 있다.




* 저작권을 위해 일부 이미지를 흐리게 처리하였음을 알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