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풍의 언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데이트 폭력"
그는 그녀를 그저께도 어제도 그리도 오늘도 사랑한다. 그런데 그는 그녀의 생각이 그와 다르고 그녀가 그의 뜻대로 움직여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사랑'하는 그녀에게 '폭력'을 사용하고 반복되고 절제할 수 없는 '폭력'은 그녀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사랑은 불면, 불안, 광기를 동반한다. 사랑하는 자들은 잠 못드는 밤, 감정에 균열을 불러오는 불안, 느닷없는 광기를 겪는다. 특히 광기는 사랑의 이름으로 포장되는 격렬함이고, 자기모순과 폭력으로 표현되는 과잉 열정이다.
사랑에 대하여 / 장석주지음 / 책읽는 수요일, KPI 출판그룹 / p101
어떤 사람들은 그가 그녀를 너무 사랑해서, '사랑에 미쳐서' 발생한 '사랑 싸움' 때문이라고 가볍게 생각한다. 어떤 시인은 사랑은 모순과 폭력을 포함하고 크고 작은 사건을 일으키며 심지어 자해, 자살, 살인으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무겁게 이야기 한다. 그러나 사랑은 내 모든 것을 주어 상대방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지 상대방으로 부터 무언가를 받고 싶은 것이 아니다.
사랑은 주는 것이다. 받을 것을 전혀 기대하지 않고 계속해서 주고자 하는 행복한 감정이다. 가끔 정신을 차려보면 받은 것이 적거나 또는 전혀 없는 것을 알게되더라도 가슴아프고 후회할지 모르지만 그래도 사랑은 주는 것이다. 준 만큼 받을 수 없더라도 또는 전혀 받을 수 없더라도 사랑은 주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준 사랑 만큼 사랑을 받고자 요구한다면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감정교환'이다. 그리고 '교환'은 '내 것'이 있어야 가능한 행위이므로 '교환'은 '소유'를 전제조건으로 한다. 그런데 '교환'과 '소유'가 나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행해지고 통제되지 않는다면 이를 바로잡기 위해 교환 조건이나 방법을 바꾸고 제약을 가하거나 '폭력'을 행사한다. 그래서 그 많은 '사랑'으로 포장된 '소유'는 '폭력'을 정당화하고 심지어 그 폭력은 '사랑하니까'로 미화된다.
"폭풍의 언덕(에밀리 브론테 지음)"은 '소유'를 '사랑'으로 착각한 '캐서린 언쇼'와 영국 리버풀 거리에서 주어온 아이 '히스클리프'의 사랑 놀이로 시작되어 히스클리프의 광기로 마무리된 18세기 말의 막장 드라마식 소설 이다. 책 골라주는 남자
주어온 남자아이가 딸과 사랑한다. 그러나 그 딸은 돈많은 남자와의 결혼을 결심하고 주어온 남자아이는 떠난다. 돌아온 남자(주어온 아이)는 두 집안의 몰락을 위해 돈많은 남자의 여동생과 결혼한다. 사랑하는 여인도 죽고 돈많은 남자와 그 여동생도 죽고 복수가 완성되려는 순간, 주어온 남자는 미쳐버린다. 이 소설이 막장 드라마로 읽히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내가 히스클리프와 결혼한다면 우리가 거지가 될 거라고 생각한 적 없어? 하지만 내가 린튼과 결혼한다면 히스클리프가 오빠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게 도울 수가 있어.
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 / p135
주어온 아이를 아버지가 나보다 더 사랑한다면, 나는 그 아이를 미워할 수 밖에 없다. 하물며 그 아이가 내 '소유'를 탐내고 뺏으려 한다면, 나는 그 아이를 죽기 직전까지 패줄 수밖에 없다. 그런데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내가 그 집안의 가장이 되었다면, 나는 그 아이에게 내가 겪은 과거 고통과 괴로움을 수 십 아니 수 백배로 돌려주고 결국 그 아이를 내 집안에서 내 쫓아 버릴 것이다. 그 아이는 어떤 생각을 품고 있을까. 자신의 악행을 반성하고 자숙하면서 남은 인생을 보내지는 않을 것이다. 그 아이가 당한 고통과 괴로움을 나에게 되돌려주기 위해 또다른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아버지의 사랑을 히스클리프에게 빼앗긴 '힌들러 언쇼'는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노동, 폭언 그리고 폭력을 동원해 히스클리프를 괴롭힌다. 그리고 '캐서린 언쇼'에게 배신당해 워터링 하이츠를 떠났던 히스클리프의 복수는 '힌들러 언쇼'에서 부터 시작된다. 이 광기 가득한 복수의 근원은 무엇일까.
모든 문제의 근원은 아버지의 '책임질 수 없는 선의' 때문이다. 영국 리버풀 길가에 버려져 헤매고 있는 힘들고 지친 아이를 데려다 먹이고 키우겠다는 '선의'는 가족을 불행하게 만들었다. 나의 아이들과 주어온 아이를 똑같이 사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아버지의 선의는 '편애'가 되었고 '편애'의 희생자인 '힌들러 언쇼'는 '복수'를 다짐한다.
그렇다면 버려진 아이들은 절대로 데려다 키워서는 않되는 것일까. 아버지 '혼자만의 결정(책임질 수 없는 선의)'이 문제다. 주어온 아이(히스클리프)를 집안에 들이는 문제는 온 가족이 함께 고민하고 의논해서 결정했어야 할 사안이다.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논의했다면 '편애'도, '질투'도, '복수'도 없지 않았을까. 그래서 우리가 생활 속에 행하는 '선의'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한다. 내가 행한 '선의'가 상대방과 주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이 책은 소유와 사랑을 착각하지 않고 책임질 수 없는 선의를 베풀지 않도록 끊임없이 자기 자신과 주변에 대한 성찰과 반성이 필요함을 알게 해준다. 그러나 이 책이 고전으로서의 가치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이런 류의 막장 드라마식 소설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책 골라주는 남자
그러나 소유와 사랑을 착각하지 않기란 쉽지 않다. 선의를 베풀어야 하지 말아야 할지 선택도 쉽지 않다. 반성과 성찰이 필요한 것은 알겠는데 무엇(what)을 어떻게(how) 시작해야할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책을 읽는다. 책이라는 간접 경험을 통하여 what과 how를 짐작한다(헤아린다). 끊임없이 책을 읽고 생각하고 쓰고 삶에 대입하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나의 책 읽기는 적극적인 삶을 위한 수단"
이다.
1801년. '히스클리프'의 '드러시크로스' 저택에 세들어 살게된 '록우드'와 그 저택에서 일하는 '엘렌(넬리) 딘'이 '히스클리프'의 과거 이야기를 하면서 이 소설은 시작되고, 캐서린 언쇼가 가난한 히스클리프를 떠나 부자인 에드거 린튼과 결혼하기로 결심했다는 말을 듣는 순간 히스클리프의 복수는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