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바꾸는 인문학, 변명 vs 변신 - 죽음을 말하는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다른가?
플라톤.프란츠 카프카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변명vs변신
-글쓴이 : 플라톤 ,프란츠 카프카
-업체명 : 스타북스
-후기내용 :
죽음을 말하는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다른가?"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읽었다. 신념을 가지고 자신이 가진 지혜와 지식으로 다른 이들을 만나고 젊은이들과 교류했던 소크라테스.
그의 변명을 제장인 플라톤이 기재한 서술을 옮겨온 변명에서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자신이 왜 죽음에 이르게 되었는지 그 진실은 타인들의 미움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자신의 지식과 지혜 탐구는 진실된 것이었음을 밝히며 자신은 무죄라고 자신을 변호하는 소크라테스의 지혜로운 발언은 흥미롭다.

16~18세기 유럽에서 흑사병으로 많은 이들이 죽어갈 때 마녀사냥으로 죄없던 여인들이 떠오르는 소크라테스의 변명이었다. 여인들에게 죽음에 이르는 타당하고 정당한 죄를 많은 사람들이 열거하고 증거하고 증인으로 내몰고 진실을 이야기 하거나 변호하던 사람들마저 죽음이나 기타 다른 죄를 명목하에 죽음으로 몰지 않았는가?!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읽으면서 소신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인하여 진실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 죄가 될 것인가 많은 의문을 품었다. 소크라테스를 따르는 많은 젊은이들 중에 무지함 때문에 소크라테스만이 진리이고 자신이 진리라고 외쳤기 때문에 소크라테스가 재판장에 오른 것이라면 그 역시 소크라테스의 죄가 아니다라는 것을 누구나 알 터인데, 시기와 미움으로 인해 한 생명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은 마녀사냥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억울함을 아무리 호소해도 변호하는 이는 자기 자신이다. 왜 타인이 변호하지 않았을까?
예수의 제자처럼 소크라테스를 변명하면 죽음에 내몰리게 될까 염려스러워서 였을까?
아니면, 자기 자신을 너무도 잘 아는 나머지 자기를 변호해야한다고 생각했을까?

여러가지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죽음에 대해서 결코 두려워 하지 않은 소크라테스는 정말 인상적이다.
이 또한 신이 알 것이라 말하고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는 진실을 탐구하였건만 목숨을 구걸하지 않았다.
쉽지는 않은 선택임에도 그 또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 말하는 그의 언변에는 정말 신념이 강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에 이어 변신이라는 책을 읽었을 때에는 정말 머릿속이 하얘졌다.
갑자기 하루 아침에 내가 일어났을 때 이름 모를 벌레로 변한다는 설정..

사랑하는 가족에게 벌레 취급을 받은 처지가 너무나 불행해보였다. 가족이 자신이 변한 모습마저 사랑해줄 수는 없는 것이 었을까? 어쩌다 나는 벌레가 되었나..
열심히 살아온 그가 하루아침에 벌레가 되면서 벌레취급을 받은 것에 자신을 변호하는 그의 말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변명이 떠올랐다. 진실이 갑자기 하루 아침에 변질하는 순간 말이다. 물론 그의 제자들은 어찌 생각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희생한 침착하고 분별력있던 '잠자'군은 하루 아침에 벌레가 된 것만으로도 정신없는데, 지배인에 의해 변덕스럽고 시간관념 없는 사람으로 내몰린다. 이른 새벽에 일어나 기계처럼 맡은 일들을 처리하느라 온 몸이 아파도 그 일들을 처리하며 부모의 빚을 갚으려 하는 잠자군의 일상이 빼곡하게 적혀있다. 마치 소설' 모모' 속의 사람들처럼 기계적으로 바쁘게 살아온 그의 이야기는 정말 가슴아프다. 벌레가 됨으로 정말 고되게 일을 해야만 했던 그의 생활이 비로소 어쩌면 그가 바라던 휴식을 취하게 된 순간일 수 있다. 하지만, 가족들에게는 벌레로 변한 그를 제거하려 한다. 끔찍하게도 가족으로 여기지 않는 듯 하다. 벌레가 된 일만 해도 너무나 끔찍한데 , 상황이 바깥으로 나갈 수도 없고 집안에만 갇혀있는 그가 너무나 가엾기까지하다. 비로소 휴식을 취한 그인데, 여유로운 생활은 커녕 가족들의 위로나 위안을 받지도 못한다. 사랑하는 가족들에게서 말이다.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그레고르 잠자의 죽음 또한 너무 슬프다. 저것, 제거해야할 그것, 짐처럼 여기는 사람들..
정말 소름끼치던 것은 그의 묘사가 아니라, 바로 가족이었고 책임지고 자신들을 위해 일했던 그를 죽음으로 내몰고도 모자라 죽음조차도 냉대받고 마음 졸이던 이기적인 가족들의 태도였다.
가벼운 마음으로 교외로 소풍을 떠나는 이 가족의 형태에서 우리가 물질때문에 사람의 목숨과 가치관마저 하루 아침에 바꿔버리지는 않는지 생각하게 한다. 절망조차 할 수 없는 그의 삶이 너무나 가엾고 맘 아프게 느껴진다.

이 책을 쓴 프란츠 카프카는 무슨 이유에서 이런 글을 썼을까? 시대적 배경부터 다시 한번 꼼꼼하게 짚어봐야 하겠다.
죽음에 대해서, 그리고 죽음 뿐 아니라 우리의 삶에 대해서 여러가지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도서를 지원받아 읽고 주관적인견해로 작성한 후기임을 밝힙니다.

#소크라테스 #생각을밖는인문학 #변명대변신 #변명VS변신 #철학과소설 #프란츠카프카 #플라톤 #스타북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