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림 - 산 자를 위로하는 죽은 자의 마지막 한마디
신동기 지음 / M31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왠지 힘든 요즘 위로를 받을까 싶어 서평단을 알리는 문자가 여느 때보다 반가웠다.

그리고 도착한 책이..오늘 처음 받은 책이건만..... 낯ㆍ이ㆍ익ㆍ다 ?


왜땜에?



궁금한 건 참을 수 없는 나인지라 집에 오자마자 책장을 뒤졌다!

짜란!


역시!

같다!

출판사가 다른데....뭐...그럴수...있겠지..

좌우당간 색다른 경험이었다-


작가는 책을 한 번에 읽지 않기를 원하며 급하게 이 책을 읽지 말기를 거듭 당부하며 시작한다.



사실 산 자를 위로하는 죽은 자의 마지막 한마디...라는 말에 내가 생각했던 건,

네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그리던 내일이다는 것과 비슷한 내용이 담겨 있을 줄 알았다

불치병, 시한부 환우들의 희망의 메시지 이런...?

하지만 나는 예상은 조금도 벗어남이 없는 완벽한 헛스윙이었군.훗

진, 선, 미로 나누어진 책에는 독립운동가, 사회활동가, 지식인 등 우리 역사 속 인물 37인의 마지막 메시지를 담았다.

그들의 메시지를 통해 생의 마지막까지 지켜내고자 했던 ‘그 무엇’을 들여다본다.



각각의 인물들이 잠들어있는 곳과 일대기가 간략하게 나열되어있고 그들의 삶에서 중요했던 것들이 기록된 구성이다.

37명 중에는 전혀 몰랐던 인물도 있고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통해 더 자세히 알게 된 인물들도 있다.


QR코드를 통해 그분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https://youtu.be/GBUxGf0TLsw


생전에 한국을 모르던 세계에 한국을 알렸지만,

살아생전 조국의 거부로 이 땅을 밟지 못했음에도 불구고하고 그는 마지막까지 조국을 위해 작품을 남기며 한국인으로 남고 싶었던 작곡가 윤이상.

전혀 몰랐던 그의 이야기는 적잖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도대체 정치인은 왜 이렇게 많냐며 그들이 하는 게 뭐냐며 나라가 국민을 위해 대체 무얼 하고 있냐며 무슨 일만 있으면 나라가 이 모양이라 그렇다며 득달같이 달려들었다.

이렇게 안전하게 잘살고 있음은 전혀 감사하지 못했다.

그저 빨간 날이면 좋다며 국기를 어떻게 다는 것 따윈 아웃오브안중이었던 나는 정작 나라를 위해 무엇을 했는가.

이제 그만 생각도 성장하자-


공산주의자였지만, 폭력적 혁명을 통한 조국 통일은 옳지 않음을 인정하고 전향한 조봉암

그리고 독재정권에 의한 최초 사법살인 희생자가 되었다.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게 쉽지 않음에도 옳은 일이기에 생각을 바꿀 정도의 의지를 가진 그를 안고 가기엔 그 당시 정권은 그릇이 작았던 모양이다.

그때는 틀리고 지금은 맞는 그의 꿈은 아직도 완성되지 않았다.

평화통일,

이것이 꿈으로만 끝나지 않기를 나 또한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