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뇌를 깨우는 존댓말의 힘
임영주 지음 / 예담Friend / 2016년 1월
평점 :
사실 전부터 서로 존댓말을 쓰면
무시하거나 화를 내는 일이 적어진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존댓말이라는게 거리감이 생기는것 같기도 하고 해서
어느순간 편안 사람에게 반말을 하게 되더라구요.
지금도 연애기간이 길어서인지 한살차이뿐이 안나서인지
신랑과도 거의 친구처럼 야,자 하며 지내다보니
존댓말이 익숙치는 않았답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말조심하려고 존댓말을 써보려 했지만,
화가 나거나 싸울때는 거의 막말이 먼저 나오니..
습관이 참 무섭더라구요.
우리 아이만은 좀더 고급 언어를 썼으면 하는 바램에서 존댓말을 쓰라고 하지만,
부모도 사용하지 않는 말을 아이가 쉽게 쓰게 되지 않겠지요.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이
제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었답니다.
경청하고, 존중하고, 배려하고, 사랑으로 대한다면...
굳이 존댓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은 대접받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구나.
사랑이 없고, 감정이 없는 극존칭은 상대방과의 대화에게
상대방의 마음을
전혀 움직일 수 없다는 것을...
또,
상대방에 대한 배려의 마음이 없다면,
존댓말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참 모르고 지냈던 것 같습니다.

겉표지의 아이가 참 사랑스럽습니다.
표지처럼 아이들은 무수히 많은 상상을 하고 있겠죠...
그걸 왜 그땐 몰랐을까...
아이가 초등학생이 되고 고학년이 되어가니 조금씩 저도 어른이 되어가나 봅니다.ㅋ

<목 차>




머리가 좋아진다고 하면
우리나라 어머님들은 바로 존댓말 사용하기 시작할꺼에요.^^
그런데,
앞에도 말씀드렸듯이 이 책을 다~~ 읽다보면
존댓말이 주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꺼에요.
일부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학급에서 존댓말 사용하기를
실시한다고 하네요.
초등학교에서는 존댓말을 사용함으로써
학교폭력과 따돌림이 많이 줄고 서로 배려하는 마음이 생겼다고 하네요.



침묵까지도 말이라니...
침묵으로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줄 수도 있을꺼란 생각이 드네요.


전 여기 여섯까지 유형에 모두 해당되는 엄마였던 것 같아요.
지금은 일을 한다고 아이와 있는 시간이 줄어
이런것조차 할 수 없네요.
반성 많이 합니다.ㅠㅠ

지금도 바쁘다고 경청하지 못하는데...
같이 있을때도 이렇게 경청해보지 못했던것 같아요.
많이 들어줘야겠어요.(경청의 자세로)


요즘 참 바쁘죠..
그래도 우리 아이들의 말 많이 들어주자구요.
그리고, 이해해주고, 격려해줘서 기 팍~~팍 세워주자구요.
이 책에서 밥상머리교육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는데요.
훈계하지 말라입니다.
밥상에선 윗어른을 공경하는 마음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하고,
즐거운 시간으로 만들자입니다.
대화가 많이 부족한 요즘
정말 하루에 한끼 식사만이라도 가족과 함께 하며 그날에 있었던
기쁜일 슬플일 모두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저도 그런 시간이 되도록 노력하려합니다.
그냥 아이가 있음에 감사하고,
저를 조금 성장할 수 있게 만들어준 책입니다.
* 이 책은 업체로부터 제공받아 직접 읽어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