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의 조건 - 사람은 무엇으로 행복을 얻는가
바스 카스트 지음, 정인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10월
평점 :
선택의 요건이 많다는것은 사람이 사는데 있어서 기회와 더 나은 조건을 받아들일수있느냐라는 물음에 나는 제목만 읽고서는 당연히, 동전의 양면보다는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짐이 더 유리한 요건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저자는 선택의 요건이 늘어남에따라 현대사회에 사는 사람들은 점점더 힘든 생활을 유지하고있으며 그 많은 경우의 수에서도 만족의 비율역시 경우의 수와 반비례하듯이 줄어듬을 수많은 실험, 수많은 조건검색, 수많은 논문등의 발췌를 통해 사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증명을 하고있다.
선택의 요건이 많아짐으로써 경우의 수를 따지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 하고있으며 그 허비하는 과정중에 비판, 불만, 불평이 당연스레베어 나오고, 그 선택의 최종적 결정마저도 동전의 양면보다 더 만족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고있다.또한 그과정을 선택하느라 소비하는 시간마져도 낭비이며, 풍요롭다 못한 과잉되는 많은 사회생활속에서 그를 유지,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더욱더 개인주의, 개별주의, 독립적인 생활이 영위되면서, 서로 더 외로워 지고 더 불행하다고 느낀다고 한다.
내가 행복해지기 위해 받아들였던 조건들이, 나에게 다시 불행이라는 씨앗으로 돌아온다는것이 참 아이러니 하며, 행복이라는게 절대적인 조건이라기 보다 상대적인 (예를 들면 주변사람들은 5천이 연봉인데 난 1억이 연봉인게 행복할까, 아님 내 연봉은 2억인데 주변사람들의 연봉은 4억인게 더 행복할까?라는 질문의 대답으로) 비교대상으로 나의 행복의 척도가 마음으로 느껴진다는것을 일깨워줬다.
혼자라는 외로움 보다, 사회적 안에서 아니 엄밀히 말해서 가족을 포함한 공동체안에서 인정을 받는다는것이 완벽하고 체계적인 사회적 보장제도보다도, 더 안정적이도 편안한 행복의 삶이 된다는걸 알려준다.
더 빨리 빨리라는 현대생활의 삶속에 바쁘고, 자신의 시간마저도 쪼개고 쪼개서 쓰며, 자기의 멀티태스킹적인 삶이 과연 나를 행복하게 하고 있는것인가를 되집어 보게 하는 챕터도 있었다. 사람들 사이에 가까워 지고 더욱더 밀접한 삶이 영위되도록 활용된 핸드폰, SNS의 생활에서 오히려 더 사람들 사이를 멀어지고, 더 밀접한 관계를 만드는게 더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인터넷이라는 홍수속에서 사람들을 더 불안에 떨수있다는 그리고 그렇게 문제라고 생각하는ADHD가 여기서 야기 된다는점이.....무조건 빠름이라고 외치는 우리네의 CF들이 과연 나에게 도움을 주는것일까?
★ 저자가 외국인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중간중간의 표나 돈의 단위들이 외국기준으로 되어있어서 직접 와닿기는 조금 분석의 시간이 필요했다. 수백편의 논문및 신문, 잡지등을 읽은 기분이라할까 ㅋ
그러나 행복을 느끼는데 있어서 빠름과, 선택의 다지선다, 그리고......절대적인 기준이 무조건적이지 않는다는건 알게되었다.
행복이라는게, 상대적인것이니 당연한게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