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전의 전설
칼 하인츠 프리저 지음, 진중근 옮김 / 일조각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먼저 번역이 잘되어 있다는 말을 하고 싶다. 역자가 현역군인으로서 또 당시의 군사적 상황

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읽는 이의 입장에서 무척 편안함을 느꼈다. 군사적인 상식이 없는

이들이 번역한 책은 읽다보면 무척 피곤함을 느낀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알리라.

전격전의 모습이 특정한 모델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독일군의 전통인 임무형 전술에 의해

발현된 일종의 현상이라는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세부적인 지도자료는 읽는 이로 하여금 당시의 전장상황속으로 들어가 그 현장에 있는

느낌을 주었고 그로인해 이해의 폭을 넓게 할 수 있었다. 군에 복무하는 한 사람으로서 전반적인

소감은 어떤 전장의 현상이라도 결과적으로 보는 관점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는데 흔히 알려진 독일군의 서부전역이 일방적인 승리가 아니라 수 차례의

어려운 위기를 극복한 결과라는 점을 이 책만큼 명확하게 보여준 것은 없지 않나 싶다.

프랑스의 군 지도부가 보다 긍정적으로 현 상황을 인식하고 조치하였다면 지헬슈니트 작전의

결과는 전혀 달라질 수 있었을 것이다. 수 없이 많은 역습의 기회를 놓치고 결과적으로 20세기

최대의 참패를 당했던 것은 같은 군인의 입장에서 안타까운 심정을 금할 수 없었다.

내가 어려우면 적도 어렵다. 내가 피로하면 적도 피로하다. 잔속의 물을 넘치게 하는 것은

한방울의 물이다. 라는 군사적 금언을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었고,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조치하는 모습이 군인에게는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대몰트게의 금언인 " 전장에서는 무엇을 할 것인가 보다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간단한 착상과 신속한 결심, 불굴의 추진은 가장 확실하게 승리를 보장한다." 라는

원칙은 군사학도들이 뼈에 새겨 잊지 말아야할 명언이다. 전장에서 햄릿처럼 무엇을 할까

고민하기 보다는 조금 미흡하더라도 신속하게 결심하고 끈질기게 추진하여 결과를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군인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번역부분에서 조금 의문스러운 점은 기갑군과 야전군의 차이점이다. 역자는

클라이스트 기갑군, 제 16군 식으로 모두 "군"으로 번역하였는데 황규만 장군의 롬멜전사록에서

처럼 "클라이스트 기갑집단" 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혼돈을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러나 그 정도는 지극히 지엽적인 부분이며, 본인은 군사학도 뿐만 아니라 2차대전시 서부전역

에 관심을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일독할 것을 권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근 2008-03-21 23: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십니까? 분에 넘치는 격려와 칭찬에 감사드리는 바입니다.
현역 군인이시라고 하신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알고 있는 분인지 여쭙고자 합니다.
2002년도에 기계화학교에 이영철 소령님이 계셨던 것 같은데
같은 분인듯 싶기도 합니다만....
어쨌든 다시금 분에 넘치는 칭찬에 몸둘바를 모를 정도로
감사드리는 바입니다.

이영철 2008-03-22 13: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와 동명이인이 무척 많습니다. 보병이고 기계화학교에는 근무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3사단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같은 군인으로서 귀하와 같은 공부하는 군인이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우며 또 본인에게 새로운 서부전역의 시각을 가지게 해준것에

감사드립니다. 특히 지도자료는 정말 훌륭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본문에 나와 있는 지명을 첨부한 지도에서 모두 찾을 수 있어서 입체적으로

전후 사정을 파악하는 것이 무척 용이하였습니다. 가능하시다면 책속에 있는

지도자료만 별도로 편집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귀하의 건투를 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