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의 현대미술이야기 - 어린아이를 닮은 화가 이중섭 특목고를 향한 교과서 심화학습 20
NS교육연구소 지음, 김영곤 외 그림 / 에듀조선(단행본)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이중섭의 현대미술이야기




많이 들어본 화가라는 것만 알고 ‘이중섭의 현대미술이야기’라는 책을 접하게 되면서

이중섭이라는 화가에 대해 더욱 알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유학을 떠나 일본여인과 결혼을 하였으나 6.25전쟁과 함께 피난생활으로 힘들어지면서

아내와 두아들을 일본으로 떠나보낸뒤 가족에 대한 그리움속에서 홀로 외로움과 가난을

견디면서도 그림에 대한 열정만은 식지 않았나 봅니다.

가난함속에서 그림그릴 종이가 없어 담배 은박지에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보면 알수

있지요. 

그는 장판.합판.시험지.벽지등 그림을 그릴수 있는 모든곳에 그림을 그리면서 아내와

아이들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달랬다고 해요.

이중섭은 가족을 만나기 위해 더 열심히 그림을 그렸답니다.

친구의 도움으로 서울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성공을 할수 있었지만 그림만 가져가도

그림값을 받지 못해 여전히 가난을 면치 못했지요.

또다른 친구의 도움으로 대구 미국 공보원에서 이중섭의 개인전이 열리고 성공을 거둘

수 있었으나 그는 계속 야위어 가고 결국 친구들은 그를 삼선교 병원에 입원까지 하기

도 했지요.

그의 작품‘돌아오지 않는 강’은 꼭 자신의 신세를 대변하는 작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자신의 부인은 결국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이었지요.

술을 너무 많이 마셔온 탓에 결국 간염에 걸렸고 결국 지켜보는 이 하나 없이 41의

나이로 눈을 감았습니다.

정말 외롭게 그림을 그리며 살다 간 화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이 작품중에 남북의 모습을 그린 <봉황>, 일본인에게 당하고 있는 우리 겨레를

표현한 <우리 민족의 분노가 서린 흰소>가 있답니다.

부지런하고 착하지만 주인에게 꼼짝 못하는 소의 모습이 우리 민족과 닮았다는

뜻이랍니다. 

이책은 이중섭의 가족과 생활이야기에 대해 동화형식으로 풀어져 있어 어렵지 않게

그의 인생을 알수 있고 아이와 함께 읽어도 어렵지 않아 좋았어요.

책중간에 상식보태기라는 코너로 그림과 관련한 용어 해석도 되어 있어 그림과

미술에 대해 문외한이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답니다

그림의 크기를 ‘호수’라고 표현된다는 것도 알수 있었어요.




이책은 현대미술의 역사영역, 사회영역,미술영역, 상식영역등 다양한 영역으로

현대미술에 관해 알려주어 다양한 미술 상식을 알수 있어 참 좋았답니다.

책 뒤쪽엔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해 책을 통해 가보지 않고도 소개받을수 있어

무척 유익했답니다. 그 외 알쏭달쏭 미술용어도 알수 있구요.

앞으로 아이와 함께 가까운 미술관에 가끔은 들리는 습관을 기르고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를 좀더 높이고 싶은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며 들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