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뇌과학 - 이중언어자의 뇌로 보는 언어의 비밀 쓸모있는 뇌과학
알베르트 코스타 지음, 김유경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뇌구조는 어떻게 다를까?로 시작한 책이다.

잠잘 때 수업 시간에 녹음한 내용을 틀어놓으면 머릿속에 쌓인다는 소문을 얘기하는 장면이 있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자녀에게 외국어를 공부시키려는 부모가 많다. 그들은 그저 아이들에게 언어를 노출만 시켜도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아이들이 자동으로 언어 신호에서 통계적인 규칙성을 잘 찾아낸다면, 새로운 신호를 꾸준히 노출만 시켜도 충분하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언어를 수동적으로 노출하기말 해서는 별 효과가 없다. 실제로 외국어 학습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언어 습득의 기본이다.

영어 실력을 높이고 싶은 당신이 집에다가 습관적으로 미드나 영어 라디오를 틀어놓고, 퇴근길에 영어 방송을 듣는다고 해도 아쉽게도 별 소득이 없다는 이야기이다. 나도 그런 경험이 있다. 어떻게는 도움이 되겠지, 어떻게든 조금은 늘겠지. 물론 아주 효과가 0인 것은 아니지만 그것을 듣기 위해 신경을 써야 하고 다른 일을 할 때 그 소리가 거슬리기도 하고, 결국 시간 투자를 한 것에 비해서는 별다른 쓸모가 없었다.

이중 언어를 쓰는 뇌는 어떻게 동작하는가에 대해서도 알아 볼 수 있다. 그 들은 여러 단어를 받아들이며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멀티태스킹 작업에도 능숙하게 된다. 아무래도 내 자녀에게는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쓰는 아버지를 만나게 해주어야 하나라는 생각이 잠시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