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편지 - 랜덤하우스 히가시노 게이고 문학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권일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끝까지 다 읽고도 아직까지 여운이 남는 도서가 있다. 히가시노게이고의 [편지]다.
히가시노게이고라고 하면 제일먼저 추리소설을 떠올릴정도로 여태까지 수많은 추리소설을 써왔다. 내가 여태까지 읽은 히가시노게이고의 책도 추리소설이었다. 아무튼, 히가시노게이고의 추라소설들만 접했던 나로써는, [편지]를 읽고나서 느낀 것은 공허함이었다. 여태까지 읽었던 히가시노게이고의 작품중에 공허함을 느낀 적은 처음이었다. 이 작품을 읽기 전까지는 , '와, 대단하다. 우와, 어떻게 이런 트릭을썻지?' 이러면서, 트릭이라던가, 그런걸 보며 그냥 재미있네, 라고 생각하는 것뿐이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많은 여운을 느끼게 해주었다. 여태까지의 작품과는 많이 다른듯하면서, 그러면서도 히가시노게이고 특유의 필체, 문장, 대사들은 여전했다. 잔잔하면서도 허를찌르기를 여러번,
- 형은 동생을 위해 도둑질을 하려다 살인까지 하고, 교도소에 들어가게 된다. 형은 동생에게 안부를 묻는 편지를 쓰지만, 동생은 형을 쉽게 이해하지 못하고, 교도소에 들어간 형때문에 사회적으로, 심리적으로 점점 고랍되어가고 설자리가 없어지는 동생의 이야기이다. 나중에 어렵게 배우자를 얻어 가족을 얻게 되고, 자신의 아이가 형의 조카라는 이유로 괴롭힘을 받고 힘들어하자, 형과 인연을 끊기로 하고 편지를 보낸다. 하지만, 형은 범죄자라는 이유로 인연을 끊자는 동생을 절대 미워하지 않는다. 오히려, 동생에게 편지를 보내지말았어야 한다고 자책한다. 동생은 그런 형의 마음을 알게 되고, 자신이 하던 밴드부가 형이 있는 교도소로 위문공연을 가게 되고, 그곳에서 동생은 한껏 위축되어 눈물을 참는 형을 보게 되는데, 그런형의 모습을 본 동생은 노래를 부르려 하지만, 목소리가 나오지 않아하며 작품은 끝이 난다. -
가해자 가족의 시점으로 써내려나간 작품, 우리는 대부분 피해자가족의 입장에서만 생각해볼것이다. 가해자의 가족보다 피해자의 남아있는 가족이 더 걱정되고, 신경이쓰이고, 나 역시 그랬으니까, 가해자의 가족이라는 이유 하나로 잘못한거 없이 늘 손가락질 당하고, 무시당하고, 벌레보듯 보고. 직장에서까지 피해를 보고, 그런상황들을 피해자가 아닌가해자가족의 입장에서 써내려간다.
동생을 너무 사랑하고 항상 걱정하는 형과, 자신도 형을 사랑하고, 용서했지만 , 주위상황들은 자신을 몰아부쳐 그런 형을 미워할 수 밖에 없고, 형보다 자기자신과 가족을 챙겨야하는 동생. 정말 읽는내내 뭐라고 해야할까.? 뭉클하다고 해야하나, 안타깝고, 불쌍하고, 가슴시리고, 하지만 따뜻하기도 하고, 정말 오만가지 감정들이 다 들었던 듯 하다.
그 편지를 읽었을 때 눈물이 그치지 않았다. 인연을 끊겠다고 선언한 편지는 스스로 생각해도 냉혹하기 짝이 없었다. 그렇지만 형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저는 편지 같은 걸 쓰지 말아야 했습니다.-.....
그게아니야, 형. 속으로 말했다. 그 편지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내가 있는거야. 편지가 오지 않았으면 괴로울 일도 없었겠지만, 다른 길을 모색할 수도 없었을 거야. - P. 410
어딘가에 형이 있다. 내 노래를 들어줄 것이다. 온 힘을 다해 노래하자. 적어도 오늘만은-' 그때였다. 나오키의 눈이 객석 한 곳에 꽃혔다. 뒤쪽 오른편 끝. 갑자기 그 쪽에서만 빛이 나는 것 같았다. 그 남자는 고개를 푹 숙이고 있었다. 나오키가 기억하는 모습보다 훨씬 더 작아보였다.
그 모습을 보자 나오키는 몸 안에서 갑자기 뜨거운 것이 치밀어 오르는 걸 느꼈다. 남자는 두 손을 가슴 앞으로 모으고 있었다. 사죄하듯이, 기도하듯이, 그리고 나오키는 느낄 수 있었다. 그의 팔이 가늘게 떨리고 있다는 걸--,
형, -- 나오키는 마음속으로 형을 불렀다. -형, 우리도 행복해질 수 있는 날이 올까? 우리가 서로 마주 앉아 이야기할 수 있는 날이 올까?
나오키는 그 한곳을 바라본 채 마이크 앞에 서있었다. 온몸이 마비되는 듯 움직일 수가 없었다. 숨조차 쉴 수 없었다. 나오키는 간신히 입을 벌렸다. 노래를 부르려 했다. 하지만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목소리가 도저히 나오지 않았다. , - P .411 ~ 412
마지막 문장. 마치는 문장 - 목소리가 도저히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까지 다 읽은 후에야, 위에서도 말했다니피 갑자기 밀려오는 공허함.. 마음속에서 어느순간부터 계속 걸리적거리고 있던 무언가가 싹 쓸려 내려간것처럼 허~한 느낌, ' 아, 이게 뭐지?' 라는 생각만 들뿐, 동생의 간절한 소망 '우리도 행복해질 수 있는 날이 올까?' 형에게 이런 마음을 보일 수 있기까지 동생은 얼마나 피눈물을 흘렸을까, 책을 다 읽고 덮은 그 순간부터 몇초간 움직일수가 없었다.
그 순간 나는, 목소리가 도저히 나오지 않는 다케시마가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