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으로 생각하라 - 생각이 뚫리고 인생이 바뀌는 완벽한 사고법
사이토 다카시 지음, 서라미 옮김 / 와이즈베리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3으로 생각하라> <혼자 있는 시간의 힘>, <한 줄 내공>,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 등의 저자인 사이토 다카시 교수의 책이다. 사이토 다카시 교수의 모든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고 있는 건 아닐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끊임없이 새로운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나오는걸 보면 정말 책을 많이 쓰시는 것 같다.

 

<3으로 생각하라>는 말 그대로, 모든 생각의 결과물을 '3'에 초점을 맞춰 내놓을 것을 권하는 책이다. 어렵게 들리지만, 단순하게는 일상 생활에서 저녁 메뉴를 선정해야 할 때 후보로 3가지 메뉴를 생각해보는 것도 '3'에 초점을 맞춰 생각하는 사례에 해당한다. 직장인이라면 회의 시간에 제안할 아이디어를 3가지 마련해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쨌든 3개의 결과물을 생각해내는 것이다. 어떠한 질문에 대해 한두개의 답을 마련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마지막 3번째 답을 생각해내는 것은 앞의 두가지에 비해 어렵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두번째까지는 그냥 떠오르는 것을 말했지만, 그 다음 3번째 자리를 채우는 단계에 이르면 고만고만한 후보군들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고하고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3에 초점을 맞춰 생각하는 것은 아이디어를 이끌어내고 정리하는데도 유용하다. 저자는 서평을 쓸 때도 이 세 가지 선택 방식을 즐겨 활용한다고 한다. 먼저 책을 읽으면서 눈에 띄는 문장을 체크해두고, 그 중에 3가지를 뽑아 그 문장을 선택한 이유를 적으면 자연스럽게 서평이 된다는 것이다. 나도 책을 읽으면서 눈에 띄는 부분에 체크를 하고, 그 부분을 다시 살펴보면서 서평을 작성하기는 한다. 하지만, 굳이 베스트 3를 꼽을 생각을 하지는 못했는데, 생각을 정리하는데 꽤나 유용한 방법인 것 같다.

 

저자는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으로 구성된 삼색볼펜을 이용함으로써, 정보 수집과 분류를 동시에 행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책이나 문서를 읽을 때, 가장 중요한 부분에는 빨간색,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부분에는 파란색, 개인적으로 재미를 느끼는 부분에는 초록색으로 밑줄을 그어 표시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저자의 책인 <3색 볼펜 읽기 공부법>에 나온 내용이기도 하다. 사실 이전에 <3색 볼펜 읽기 공부법>을 읽고 검은색을 포함한 4색 볼펜을 구매했었다. 펜 굵기가 맘에 들지 않아 안 쓰고 있는데, 다시 삼색 볼펜 필기법을 접하니 다시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슬금슬금 올라온다.

 

생각의 단계를 넘어 목표 달성과 같은 실천 단계에서도 3이라는 숫자는 효과를 발휘한다. 목표를 설정하고 거기에 필요한 것들을 목록으로 작성한 뒤, 실행하는 단계에서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을 3단계로 나누면 목표 달성이 훨씬 수월해진다는 것이다.

 

<3으로 생각하라>에는 앞서 언급한 사례들 외에 결혼, 인관관계, 프레젠테이션, 수업, 스트레스 해소, 그리고 인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3에 초점을 맞춰 생각하는 방법이 담겨있다. 책을 다 읽고 나면, '생각이 뚫리고 인생이 바뀌는 완벽한 사고법'이라는 수식어가 괜히 붙은게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책 속 문장]

 

(p.6)

무엇이든 세 가지로 정리하면 본질이 보인다. 세 가지 아이디어를 내면 생각이 구체적이면서도 풍부해진다. 과제를 3단계로 나누면 생각이 넓어진다. 요컨대 3을 사용하면 생각이 풍부해지고 정리가 잘 된다. 넓히는 것과 정리하는 것, 상반된 두 행위가 동시에 가능한 만능 생각 도구가 바로 3이다.

 

(p.19)

3은 머뭇거리지 않고 생각을 시작하기에 안성맞춤인 숫자다. 게다가 반사적으로는 대답할 수 없는 것들을 떠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도 3은 중요하다. 세 개를 고를 때 우리는 기억 속에 있는 좋은 것들을 떠올리고 그보다 더 나은 것이 없는지 검토한 뒤 선별한다.

 

(p.98)

논문처럼 깊이 있는 주제로 장문의 글을 쓰다 보면 머릿속에 다양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이다. 그러다 보면 전체적인 구성을 어떻게 잡을지, 반드시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어떻게 논리를 전리해 나갈지 쉽게 갈피가 잡히지 않는다. 그럴 때는 내용을 크게 세 가지 상자에 나누어보자. 세 가지 주제로 세 개의 상자를 준비해 거기에 넣을 내용을 생각해보자.

-중략-

세 상자 방식을 활용하면 '전체를 몇 장으로 구성해야 하는가?'가 아니라 '세 장으로 정리하려면 어떤 내용이 좋을까?'라고 생각의 방식을 바꾸게 된다. 무리가 되더라도 내용을 세 장에 맞춰 생각해보자. 그러면 실제로 세 장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p.162)

하루를 분명하게 셋으로 나누어 각 시간대에 무엇을 하며 어떻게 보낼지 구체적으로 정하고 습관화하는 것이다. 그러면 하루를 알차고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

 

(p.168)

3분할법은 시간뿐만 아니라 장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가정과 직장이라는 두 장소에 머문다. 여기에 한 가지 다른 장소를 의식적으로 더해보자. 직장에서는 업무에 치이고 가정에서는 육아와 집안일에 매달리느라 늘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사람에게는 혼자만의 공간이 필요하다.

 

(p.187)

진취적이고 심도 있게 생각한 결과, 핵심을 네 가지 혹은 다섯 가지로 간추렸다면, 그래도 괜찮다. 3은 생각을 잘하기 위한 도구이지 생각을 마무리 짓는 결론의 숫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을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억지로라도 셋으로 생각하려는 것이 의미가 있다. 생각하는 데 탄력이 생기기 때문이다. 3은 생각에 동력과 추진력을 주는 숫자다. 그래서 나는 3을 좋아한다. 여러분도 3의 힘을 통해 아이디어가 샘솟는 인재가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