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잡학 사전: 단어, 어원, 일상, 문화 편 - 보통의 어른을 위한 소소하고 절대적인 영어 상식 100 영어 잡학 사전
구경서 지음 / 길벗이지톡 / 2017년 1월
평점 :
절판


영어 공부에 쏟은 시간이 어언 20년이 넘어가지만, 여전히 영어는 어렵기만 하다. 특히 문자나 영상물을 통해 영어를 접할 때, 근본적인 부분에서 이해가 되지 않아 주춤하게 되는 때가 종종 있다. 영어는 한국어와 아무런 접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언어이고, 한국과 영어권 국가들의 문화 사이에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만 살아온 사람으로서는 피할 수 없는 과정인 것 같기도 하다. 물론 이는 지속적으로 시간을 들여 영어권의 소설이나 뉴스, 드라마, 토크쇼 등을 접하다보면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왕이면 한국인의 입장에서 영어에 담긴 그 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번에 만난 <영어 잡학 사전>이 딱 그런 책이었다. +_+!!

<영어 잡학 사전>은 '보통의 어른을 위한 소소하고 절대적인 영어 상식 100'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으며, '단어, 어원, 일상, 문화 편'과 '시사, 정치, 역사, 종교 편'의 2가지로 구성된다. 이번에는 '단어, 어원, 일상, 문화 편'을 읽었는데, 평소에 가지고 있던 궁금증을 해소함과 더불어, 새로운 단어들을 알게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무엇보다 내용이 대화체로 적혀 있어서, 본격적으로 공부를 한다기보다는 가볍게 내용을 접한다는 기분으로 읽을 수 있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다른 책도 읽어봐야겠다. 




기억에 남는 내용들을 일부 적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003] Steve Jobs와 형사 Columbo의 공통점은?
-. Conan Doyle과 Agatha Christie의 작품들은 누가 범인인지를 밝혀가는 과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Whodunit(Who has done it?) 스타일의 추리물로 분류됩니다. 
-. 반면, 범인이 누군지 아는 상태에서 어떤 단서와 증거로 범인을 압박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추리물도 있는데, 이런 건 Howcatchem(How did he catch them?)이라고 부릅니다. 형사 콜롬보(Columbo)가 대표적인 Howcatchem 스타일입니다.
-. Just one more thing.은 Steve Jobs도 표절(?)해서 자주 사용했습니다. 신제품 PT를 끝마칠 듯하다가 One more thing.이라고 말하죠. PT에서 사용하는 이런 식의 대화체 기법을 Stevenote라고 부릅니다. 

[005] Starbucks logo에 인어가 들어간 이유.
Starbucks logo의 여인은 siren? 아니면 mermaid일까요? 결론적으로 mermaid(인어)가 맞습니다. 
-. Starbucks의 mermaid는 꼬리가 두 개여서 two-tailed(double-tailed) mermaid로 불립니다.
-. 1917년 Seattle에서 탄생한 Starbucks는 이 도시가 전형적인 seaport인 것에 착안해 바다를 상징하는 mermaid를 로고로 정했습니다.  

[023] 손석희 앵커가 말한 chicken hawk란?
-. 병역을 기피한 적이 있거나 면제받은 정치인 중에서 군사적 강경파(hawk)를 chicken hawk라고 부릅니다. 알고 보면 '겁쟁이'라는 뜻인 거죠. 

[028] 한국과 미국의 서로 다른 사내 호칭, 내 명함을 부탁해.
-. 기업체 임원들의 명함을 보면, 직위에 해당하는 영문 표기가 잘못 돼 있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한국식 호칭과 영어식 호칭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오는 실수입니다.
-. 개념을 혼동해서 쓰는 예 중의 하나가 Director와 Officer입니다. Director는 주주총회에서 선출된 이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등기이사에 가장 가까운 표현입니다. 회사와 고용 계약을 한 게 아니기 때문에 선임과 해임은 주주총회를 통해 이뤄집니다. 
-. Officer는 회사와 고용-피고용 관계이며, Director들이 채용과 해고를 결정합니다. 

[071] Hispanic과 Lationo... 뭐가 다른 거지?
-. Hispanic은 언어적 관점이고, Latino는 지리적 관점입니다.
-. 미국에서 Hispanic은 (1) 스페인어를 구사할 수 있고, (2) 자신과 부모의 조상이 Latin America 출신이고, (3) 미국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여야 합니다.
-. 포르투갈어를 쓰는 Brazilian American은 (1)번 조건에서 탈락돼 그냥  Latino입니다. 
-. 즉 (2), (3)번 조건만 충족하면 Latino이며, 여기에 (1)번 조건이 추가되면 Latino 중에서도 특히 Hispanic이라고 부르는 거죠. 
-. 가끔 Latina라는 표현도 보게 되는데, 이건 Latin계 여성을 가리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