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불안에 답하다 - 감정을 다스리는 심리 수업
황양밍.장린린 지음, 권소현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불안을 달고 사는 사람인지라, 제목에 이끌려 서평단을 신청해보았다. '불안'을 포함한 감정들은 사실 머리로 잘 컨트롤되지 않는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그래도 한발자국 물러서서 감정을 바라보면 그 느낌이 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기에, 그 한발자국 물러서는 데 도움이 될까 싶어서 이런저런 책을 읽게 된다. 그 중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하나라도 건진다면 그걸로 충분하니까. 



*

이 책은 아래 5가지 목차로 구성된다. 순서가 중요한 책은 아니니, 본인이 가장 관심있는 부분부터 읽으면 될 것 같다. 나는 다 관심이 가기에 고민하다가 결국 순서대로 읽었다.

[Lesson1. 감정의 불안] 감정은 왜 불안에 영향을 줄까?

[Lesson2. 선택의 불안] 크고 작은 선택 앞에서 늘 후회하는가? 

[Lesson3. 성장의 불안]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고 있는가?

[Lesson4. 직업의 불안] 직장에서의 불안은 어떻게 이겨 내는가?

[Lesson5. 관계의 불안] 나는 왜 인간관계가 불편하다. 


​*

불안이라는 감정을 잘 다루는(?) 것이 최우선 관심사였기에, '감정의 불안' 파트를 가장 집중해서 읽었고 실제로 가장 흥미로웠다. 불안을 그저 나쁜 것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불안이라는 감정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식하는 것으로 시작하니 그 뒤 내용이 더 머리에 잘 들어왔다. 실험용 쥐에게 임무를 완수하지 못하면 전기 충격을 가하는 실험에서, 중등 강도의 전기 충격을 가할 때 쥐가 가장 빠르게 임무를 수행했다는 실험은 한번쯤 들어본 내용일 것이다. 생각해보면 너무 불안감이 없으면 딱히 뭘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않는다. 어떤 측면에서는 불안감이 곧 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여기까지 생각하면 불안이라는 감정에 대한 인식이 조금은 달라진다. 'ㅅ'.


(p.21)

위의 실험처럼 불안과 성취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불안의 정도가 낮으면 성취도도 낮았다. (이건 이해하기 쉽다. 곧 시험이지만 전혀 긴장하지 않는다면 시험을 잘 보지 못할 것이다. ) 반대로 스트레스와 불안의 정도가 높으면 성취도도 점점 높아졌고, 불안이 특정 수준에 이르면 최고의 성적을 낼 수 있었다. (이 역시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받으면 시험을 열심히 준비할 것이다.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는 더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는 효과를 낳는다.) 하지만 불안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스트레스가 과도하여 성취도가 낮아진다. 즉, 과도한 불안을 느끼면 사람은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두려움이 쌓인다. 연구자들은 최고의 성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수준의 불안을 '적정 불안'이라고 정의했다. 그것은 '건설적이고 창의력을 자극하는 불편함'으로 작용한다. 


*

불안은 내 안에서 느껴지는 감정이다. 그리고 불안함을 느끼는 가장 큰 원인은 자기 자신에 대한 불신(?)이 아닐까 싶다. 어떤 상황이 닥쳐도 내가 잘 해쳐나갈 자신이 있다면, 불안을 느끼지 않을테니 말이다. 이 책에서는 자기 의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5초의 법칙'과 '미래의 나 상상하기'를 제시한다. 이 두가지 법칙에 대해서는 책의 설명을 아래에 일부 발췌하여 옮긴다. 구체적인 예시는 책을 참고하시길. 'ㅅ'.



(p.33_방법1. 5초의 법칙)

'5초의 법칙(The 5 Second Rule)'은 미국 베스트셀러 작가 멜 로빈스(Mel Robbins)가 제안했다. 그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심과 두려움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또는 해야 할 일을 미루고 싶을 때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거꾸로 세면 즉각 행동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p.35_방법2. 미래의 '나'를 상상하기)

미래의 '나'를 상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미래의 '나'를 이용해 지금의 '나'를 이해하고 성장의 힘을 믿어 보자. 

5년 또는 10년 후 내가 맞은편에 서 있다고 상상한다. 미래의 나는 지금의 내가 직면한 일을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행동을 할까? 실력을 갈고 닦아 한층 성장한 미래의 나는 자신감과 에너지가 넘칠 것이다. 지금의 내가 미래의 나와 함께 곤경을 이겨 낼 수 있다고 믿어 보자. 


*

책 한 권을 읽는다고 불안함과 친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럴리가 있나. ㅇㅅㅇ. 그래도 막연하게만 느껴지던 불안이라는 감정을 조금씩 이해하다보면 나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그 감정과 함께 갈 수 있지 않을까. 'ㅅ'. 어차피 계속 내 옆에 붙어 있을 감정이니 조금씩 친해져보는 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