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할수록 똑똑해진다 - 멍때림이 만드는 위대한 변화
마누시 조모로디 지음, 김유미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대표되는 기술의 발달은 사람들에게서 사색의 시간을 빼앗아갔다. 물론 스마트폰이 강제로 우리의 시간을 빼앗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결과만 놓고 볼 때, 오늘날 우리의 하루하루는 스마트폰의 지배를 받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창의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을 것 같지만, 그게 또 그렇지만은 않다. 기술의 발달 덕분에 일상생활의 여러가지 측면에서 편리함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뭔가가 고갈되었다는 느낌을 받고는 한다. 


*

저자는 전문 직업인이자 워킹맘으로 바쁘게 살아가던 어느날 극심한 정신적 피로감에 빠지고 만다. 그리고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깨어있는 시간 중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공백의 시간이 전무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그 주범은 스마트폰이다. 흘러넘치는 정보에 휩쓸려서 뇌는 바쁘게 움직이지만, 마음은 정보에 파묻혀 아무 일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을 것이다. 


*

저자는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멋진 아이디어가 떠올랐던 때를 더듬어본다. 그 때 떠오른 것이 심한 배앓이를 하는 어린 아들을 재우기 위해 배회하던, 테크놀로지로부터 벗어난 외롭지만 자유로웠던 시간이었다. 그리고 너무나도 지루했던 그 시간이 오히려 창의력과 추진력에는 바쁜 나날보다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렇게 '멍하니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시간을 되찾는 캠페인이 시작된다. 이름하야 '지루함과 기발함 프로젝트'이다.



*

'지루함과 기발함 도전'은 아래 7단계로 구성된다. 

>>도전1: 자신을 관찰하라

-. 먼저 자신의 디지털 습관을 추적하라. 아마도 당신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것이다.

>>도전2: 이동할 때는 기기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둬라

-. 휴대폰을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걸어가면서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지 않는다.

>>도전3: 하루 동안 사진을 찍지 말라

-. 음식, 고양이, 아이들 사진도 찍지 말라.

>>도전4: 앱을 삭제하라

-. 없으면 죽을 것 같은 앱을 휴지통에 버려라(걱정하지 마라. 당신을 죽지 않을 테니까).

>>도전5: 페이크케이션(fakecation)을 떠나라

-. 사무실에 있되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만들어라.

>>도전6: 다른 것들을 관찰하라

-. 주위의 사물을 주시하는 기술을 회복하라.

>>도전7: '지루함과 기발함 도전' 

-. 이 훈련의 정점에서 당신은 지루함을 통해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게 될 것이다.


*

'지루함과 기발함 도전' 과정을 거치면서 사람들이 마주하게 되는 것은 바로 '지루함'이다. 아직 위 도전 과정을 거친 것은 아니지만, 두번째 도전인 '이동 중 스마트폰 만지지 않기'부터 적잖이 힘들 것이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라섹 수술을 함으로 인해 스마트폰을 멀리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켜 인스타그램에 들어가고 정처없이 추천 피드를 스크롤하는 시간에 멍하니 있는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집중의 대상인 스마트폰 화면이 사라졌기 때문에, 우선은 그 시간이 지루하게 느껴지고 주변 상황이 모두 신경쓰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주변 상황이 시야에 들어오는 그 시점이, 평소와 다른 생각을 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

7개의 도전 단계 중 가장 재미있어 보였던 것은 바로 여섯 번째 도전인 '다른 것들을 관찰하라'이다. 의식적으로 주변을 관찰하는 시간을 가지라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마지막으로 그런 시간을 가진 것이 언제인지 생각나지도 않는다. ㅇㅅㅇ. 


(p.238)

먼저 공공장소에서 한동안 머무른다. 공원, 쇼핑몰, 주유소, 카페, 직장이나 학교의 복도, 어느 곳이든 가서 많은 시간을 보내라. 그리고 사람들, 새, 무엇이든 눈에 들어오는 것을 관찰하라. 1시간 동안 공원 벤치에 앉아 있지 않아도 된다. 당신이 원하는 만큼 짧은 시간 머물러도 된다. 한 장소에 가만히 있기 싫다면 걸어봐도 좋다. 이것은 '도전2'에서 '이동할 때 기기를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두는 것'과는 다른 훈련이다. 어떤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상상하거나 '만들어 낼 수 없는 세부 사항'을 줌인해서 보라. 스크린에 코를 박고 있었다면 놓쳤을 사소한 것들을 관찰하라. 내가 강조하는 것은 주목하라는 것이다. 주목하는 태도는 창조의 첫 번째 단계다. 


*

'사색'이라는 단어를 듣거나 말한지가 엄청 오래 된 느낌이다. 그만큼, 생각에 잠길 시간이 없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루하루를 바쁘게 사는 것을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생각없이, 의미없이, 바쁘게만 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이 책에서 말하는 멍때림은, 바쁘게 살아가는 자신을 불러 세워 잠시 마주하는 시간을 가지는  과정이다. 


*

책 표지에 그려져 있는 나무늘보 그림을 보고, 그냥 멍하니 심심해하는 것을 말하는 책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막상 책을 읽어보니, 적극적으로 '지루함'을 만나러 갈 것을 권하고 있었다. 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